![]() |
건강한 고령자들이 호두를 매일 섭취하더라도 체중이 증가하거나 체중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요지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립된 생활(free-living)을 하는 데다 건강한 고령자들의 경우 체중증가에 대한 부담감 없이 호두를 섭취할 수 있으리라는 것.
미국 로마린다대학 공중보건대학의 에드워드 비톡 조교수 연구팀은 ‘영양소’誌(Nutrients)에 지난달 게재한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의 제목은 ‘독립된 생활을 하는 고령자들이 호두를 장기간 섭취했을 때 체중에 미친 영향 평가: 무작위 분류 대조시험에서 도출된 결과’이다.
연구결과와 관련, 비톡 교수는 “견과류 섭취가 체중증가를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비만 뿐 아니라 심장병이나 당뇨병 등 체중과 관련이 있는 질병들이 수반된다고 하는 잘못된 믿음이 확산되어 있다”며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견과류가 건강한 먹거리임이 재확인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뒤이어 “견과류 특유의 높은 에너지 함량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견과류가 원치 않는 체중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고 오해하고 있는 데다 이 때문에 아예 섭취를 피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이번 연구가 유익한 지방과 유해한 지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WAHA 시험’(Walnuts and Healthy Aging Study)으로 명명된 이번 시험은 호두 섭취가 건강한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 최초의 대규모 시험례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험은 63~79세 연령대(평균 69세‧여성 67%)에 속하는 고령자들로 건강하고 독립된 생활을 하는 대상자들을 총 307명을 충원한 후 착수됐다. 시험 대상자들은 캘리포니아주 로마린다에 소재해 있는 로마린다대학으로부터 반경 60마일 이내의 거리에 거주하는 이들이었다.
이 시험은 지난 2012년 10월 착수되어 2016년 7월 종료됐다.
비톡 교수 연구팀은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호두를 매일 섭취토록 하면서 노화 관련 인지력 감퇴 또는 황반변성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관찰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와 함께 견과류에 함유된 지방이 건강에 유해하고 체중증가를 유발한다는 항간의 잘못된 믿음을 반증하고자 했다. 시험에서 호두를 섭취한 그룹이 호두를 섭취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체중이 크게 증가했는지 확인하고자 했던 것.
지금까지 호두 섭취와 체중증가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시험례들은 젊은 연령대를 대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수행된 경우에 속했다.
비톡 교수는 “고령자들이 호두를 장기간 섭취했을 때 체중증가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 시험사례들은 찾아보기 어려웠다”며 “이번 시험을 통해 그 같은 간극을 메우고자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보면 착수 후 2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평가했을 때 호두를 섭취한 그룹(183명)은 체중이 오히려 유의할 만하게 감소한 반면 체지방은 확실히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호두를 섭취한 그룹(173명)의 경우 0.4kg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호두를 섭취하지 않은 그룹에서 도출된 0.6kg 감량 결과와 괄목할 만한 격차가 도출되지 않았을 정도.
체지방 또한 대조그룹에서 0.9% 증가한 가운데 호두 섭취그룹은 1.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는 데 그쳤다.
이밖에 제지방(체중에서 지방을 제외한 수치)과 허리둘레,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 등은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공동저자의 한 사람으로 이번 시험에 참여한 같은 대학 영양‧건강생활‧질병예방연구소의 조안 사베이트 박사는 “고령자들은 체중증가를 걱정할 필요없이 일상 속 식생활에 견과류 섭취를 포함시켜도 무방할 것”이라며 “이번 시험을 통해 그 같은 사실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01 | 종근당 "위고비 공동 판매한다"…한국노보노... |
02 | 프로젠, 유럽당뇨병학회서 'PG-102' 전임상·... |
03 | 약사회, 대통령실 앞 릴레이 시위 돌입…“한... |
04 | 관세청, K-뷰티 수출 확대 위해 무역 장벽 ... |
05 | 혁신 비만치료제 개발 가속 '한미약품' 신약... |
06 | 미국 하원, 2026 국방수권법안 통과...‘생물... |
07 | 애경산업, 세계화장품학회서 연구성과 2건 발표 |
08 | 앱클론, 차세대 카티 치료제 '네스페셀' 개... |
09 | GC녹십자,독감백신 ‘지씨플루’ 누적 생산량... |
10 | 마티카바이오랩스,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