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 컨소시엄 연구진 (앞줄 왼쪽부터) 이교구 서울대 교수, 우지환 울산대 교수, 임윤섭 KIST 책임연구원, 문일준 삼성서울병원 교수, (뒷줄 왼쪽부터) 박정미 벨 테라퓨틱스 책임연구원, 성지은 이화여대 교수 /사진=벨 테라퓨틱스
뇌과학 기반 디지털 치료제 스타트업 벨 테라퓨틱스가 난청 및 인지 건강 개선을 위한 연구 컨소시엄 ‘에코(ECHOH)’ 출범 및 협약을 7일 발표했다.
‘에코’는 ‘Enhancing Cognitive Health through Optimal Hearing’약자로, 청각 기능 개선을 통해 인지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연구 목표를 담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연구재단 STEAM 글로벌과제로 선정돼 향후 5년 간 연구비 5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뇌과학 및 청각학 연구를 기반으로 난청 및 치매 환자를 위한 새로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개발로 국민 건강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을 목표한다.
저명한 의학 저널인 란셋(Lancet)에 따르면 ‘난청’은 치매를 유발하는 12가지 후천적 요인 중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난청을 조기에 중재해 건강한 정신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은 미국을 비롯한 일부 연구기관에서 도전하고 있으나, 아직 큰 성과를 보이진 못했다. 이에 뇌과학, 언어병리학, 인공지능 등 각 분야 국내 최고 연구자들이 모여 새로운 방법으로 난청, 치매 문제 해결에 도전한다.
연구개발 총괄 책임자는 청각 신경과학 및 헬스케어 로봇 분야 전문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임윤섭 책임연구원이 맡는다.
첫번째 목표인 청각 인지 기능을 진단하고 재활하는 기술 개발은 의공학 전문가 울산대 우지환 교수팀과, 음성신호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 서울대 이교구 교수팀, 그리고 청각학 분야 대가 미국 아이오와 대학 최인용 교수팀이 담당한다.
두번째 목표인 언어 인지기능을 진단하고 재활하는 기술 개발은 언어병리 분야 전문가 이화여대 성지은 교수팀과, 언어재활 분야 대가 미국 보스턴 대학 스왓디 키란(Swathi Kyran) 교수가 추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난청과 치매 유발 인과관계를 밝히는 임상 연구는 보청기 및 인공와우 전문가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문일준 교수팀이 맡는다.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 인허가 역량을 갖춘 벨 테라퓨틱스는 연구 성과들이 환자들 실생활과 임상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 개발과 상용화를 담당한다.
회사 측은 “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난청, 치매 환자가 증가하는 위기 상황 속에서 에코 컨소시엄은 글로벌 난청 및 치매 문제를 해결하는 획기적 단서를 제시하고 환자들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