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뇌질환 타우 병리 진행 억제하는 새 항체 개발"
아델, 서울아산병원 연구진 "단일클론 항체, 올해 미국 임상 1상 개시"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3-16 01:06   

△ (사진 왼쪽부터) 윤승용 아델 대표, 김동호 서울아산병원 교수, 송하림 아델 박사, 김나영 아델 박사. 사진=아델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 진행성핵상마비병증 등 퇴행성 뇌질환에서 타우 병리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항체를 개발했다.
 
아델과 서울아산병원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타우병증에서 병리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될 단일 클론 항체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ADEL-Y01로 명명한 이 항체는 특히 타우병증의 발달과 확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라이신 280에 아세틸화된 타우 단백질(tau-acK280)을 표적으로 한다. 타우병증은 뇌에 타우 단백질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인 질병군으로, 뇌 세포의 사멸과 인지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타우병증의 가장 흔한 유형이다.
 
연구진은 아세틸 타우(tau-acK280)가 뇌에서 잘못 접힌 타우 단백질이 증폭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아세틸 타우 표적을 위해 Y01을 개발, 세포 및 마우스 모델에서 효능을 테스트했다.
 
연구진은 ADEL-Y01이 각각 항체 매개 억제 및 포식 작용으로 신경 세포 배양 및 타우 형질 전환 마우스 모두에서 타우 병증 진행을 예방하고 신경 생존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했다. 특히 N-말단 타우를 타깃하는 항체에 비해 타우 응집 저해 및 전파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했다.
 
아델 송하림 박사와 김나영 박사는 "이번 연구는 아세틸 타우가 타우 병리 시작 및 증폭 활동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종류의 타우이며, ADEL-Y01 항체가 타우병증과 관련한 알츠하이머병 및 기타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유망한 치료 후보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협력 연구진인 연세대 홍민선 교수 연구팀은 아세틸 타우 펩타이드와 복합체를 형성한 ADEL-Y01 항체 결정 구조를 풀어 ADEL-Y01이 아세틸 타우 라이신-280과 주변 잔기를 직접 인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서울아산병원 뇌과학교실 김동호 교수는 “추가 임상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최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미국 FDA 신속승인을 받은 베타 아밀로이드 항체인 레카네맙과 병용요법으로의 개발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델은 오스코텍과 2020년 ADEL-Y01의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맺고 올해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개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견연구사업과 보건복지부의 비임상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했으며, 국제학술지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피인용지수 19.456)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