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적 전자처방전 시범사업이 오는 29일 시작된다.
대한약사회 정일영 정책이사는 26일 전자처방전 관련 브리핑에서 “건강보험공단의 공익적 전자처방전 및 진료지원 플랫폼 시범사업이 29일부터 원주연세의료원 및 PharmIT3000을 사용하는 문전약국을 대상으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건강정보와 최근 처방정보 등을 기반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응급환자 등에 대해 의료진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공유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건강보험공단이 전자처방전 중계센터 역할을 수행하고, 의료기관 및 약국 연계프로그램을 개발·제공해 원주 지역에서 QR 기반 공익적 전자처방전 서비스 구축 및 시범운영에 나서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3월 의료기관·약국 환경조사에 이어 5월 시스템 분석 및 설계, 8월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이 이뤄졌다.
올해 시범사업 1단계로 원주연세의료원 및 문전약국(PharmIT3000 사용) 대상으로 운영하고, 2단계로 1차 의료기관 및 인근 참여약국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원주시 의료기관 및 유비케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문전약국까지 확대하고, 2024년까지 원료지역 의료기관 대상 시범운영을 50% 이상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정 이사는 정부와의 전자처방전 구축 논의와 관련해 “보건의료발전협의체 산하 ‘안전한 전자처방 분과협의체’ 회의는 킥오프 이후 세차례 회의를 진행해 6월 28일 회의 이후로 아직 더 이상 협의체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분과협의체 회의는 일시 중단된 상황이지만 전자처방전은 의료법에 나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성, 개인정보 등을 고려해 갈 수밖에 없는 사업”이라며 “약사회 입장은 국가에서 주관해서 공적인 영역에서 전자처방전 전달 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환자단체도 같은 입장”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