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테라피] 원인 미상 만성근육통 혹시 섬유근통증후군?
이주원 기자 joo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8-20 09:06   

별다른 육체적 원인이 없음에도 만성적으로 근육에 통증이 오는 경우가 있다.

허리, 목, 어깨, 가슴 상부, 허벅지 등에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다.

만성근육통은 아침에 더 심해지고 경우에 따라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고통을 준다.

 

원인 미상의 만성근육통은 대개 섬유근통증후군이라는 질병으로 초래된다. 

섬유근통증후군은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이다.

비정상적 면역이 근육에 영향을 주어 갑작스런 근육수축 등을 유발하게 된다. 

 

섬유근통증후군은 과로, 스트레스, 운동부족, 불안, 우울, 감염성 질환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아직은 이 병을 정확히 진단하기 어렵다.

간혹 다발성 경화증이나 파킨슨병으로 오진하는 사례도 있다.

 

섬유근통증후군의 가장 흔한 증상은 아침에 나타나는 통증이다.

아침이 되면 근육이 뻣뻣하고 통증이 느껴진다.

근육이 아프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는 등의 동작이 매우 어렵게 느껴진다.

두통이 동반되고 피부 속에 뭔가가 들어있는 듯한 이물감도 느껴진다.

시력에도 이상이 생기는데 눈이 건조해지고 안경의 도수를 자주 바꾸게 된다.

간혹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유발하기도 한다.

 

섬유근통증후군이 생기면 순환을 개선하는 식사를 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또 식사의 절반 정도는 생식을 하는 게 좋다.

한 번에 많은 양을 먹지 말로 하루 4~5회 정도로 나누어 조금씩 먹으면 좋다.

녹즙을 만들어 먹으면 수분과 영양을 동시에 보충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피망, 가지, 토마토, 감자 등은 피해야 한다. 특히 싹이 난 감자나 덜 익은 토마토는 좋지 않다.

솔라닌이라는 독성 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솔라닌은 근육수축과 연관된 아세틸콜린에스트라아제 활성을 억제시켜 근육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방해한다.

그 외에 포화지방이 많은 식품과 유제품, 카페인, 알코올, 설탕을 피해야 한다.

 

자신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만들어 꾸준히 하면 섬유근통증후군 완화에 도움이 된다.

특히 스트레칭을 자주하면 좋다.

수면이 부족하면 증상이 심해지므로 하루 8시간 정도는 잘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침에 온수 샤워를 하면 통증이 다소 경감된다.

 

갑상성 기능저하증과 섬유근통증후군이 유사한 징후를 보이므로 갑상선 검사를 해보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