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71주년] 우당네트웍, 연구개발도 맞춤형 시대…본연 집중 CRO 솔루션 제시
연구자들 실험 과정서 시간과 비용 부담 줄이는 것이 핵심 과제
GRIDA, 실험 전 과정 지원 및 맞춤형 연구 컨설팅으로 효율성 극대화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3-26 06:00   수정 2025.03.26 06:01
임동영 대표이사.©우당네트웍

바이오 연구와 실험 분석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우당네트웍(WOODANG NETWORK)이 연구자 중심의 통합 분석 플랫폼을 통해 연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우당네트웍이라는 이름에는 ‘벗들이 모이는 집’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는 연구자들이 함께 협력해 더욱 발전된 연구를 수행하고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기업의 철학이 반영됐다.

연구자들에게 있어 실험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 부담을 줄이는 것은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연구 효율성 극대화가 상업적 성공과 연결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우당네트웍은 연구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실험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공중보건의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차별화된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다. 여기에 ‘3H 솔루션’ △수준 높은 콘텐츠 스크리닝(High-content screening) △고품질 이미지(High-quality image) △고효율 분석(High-efficiency analysis)을 기반으로 분석 플랫폼을 운용한다. 이를 통해 수준 높은 in vitro 및 in vivo 실험 분석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고 있다.

우당네트웍 임동영 대표이사는 "우당네트웍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실험 분석 지원을 넘어, 연구자들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연구스튜디오)을 제공하는 것"이라면서 “공동 연구자의 마음으로, 시간과 비용, 품질까지 만족시키는 합리적인 분석 서비스를 실현해, 바이오 연구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밝혔다.

임동영 대표는 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와 강원대학교 의학과 박사 과정을 거치며 바이오 연구 분야에서 풍부한 연구 경험을 쌓아왔다. 특히 임 대표는 국내외 다양한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며, 바이오 연구 및 실험 분석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2023 BIO USA(미국 보스턴 학회) 전시회에 참가해 해외 연구 기관 및 기업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강원대학교병원 및 아이빔테크놀로지를 포함한 30개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연구 협력을 강화했다.

이 외에도 임 대표는 한국한의학연구원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소와 연구를 진행하며, 기관에서 필요한 부분에 대해 R&D 컨설팅을 진행했으며, 구로 고려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난소암 연구실, 아산병원 심장내과 연구실, 고려대학교 식품공학연구실 등과 함께 연구기획 및 컨설팅도 수행했다. 특히 카이사이언스와 협력해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컨설팅을 진행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연구 분석의 정밀성을 높이는 데도 집중하고 있다.

우당네트웍은 국가 연구개발사업에서 핵심적인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다수의 국가 연구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현재도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AI 진단 소프트웨어 및 개인 맞춤 치료 솔루션 개발(2023.07~2025.12) △뇌경색 환자의 유전체 빅데이터를 활용한 뇌경색 위험도 예측 서비스(2022.10~2025.03) △아토피 개인 맞춤 서비스를 위한 AI 기반 피부 이미지 분석 및 케어 시스템 구축 연구(2023.04~2024.03)  △유산균 및 발효 병풀 추출물을 활용한 호흡기 건강 기능성 원료 및 식품 개발(2022.08~2025.08) 등의 프로젝트에서 총괄 책임자로서 연구를 이끌고 있다.

이 외에도 △아디포넥틴 펩타이드를 활용한 다이어트 패치 및 기능성 제품 개발(2018.03~2021.12) △아디포넥틴 및 MITF 펩타이드를 활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 (2016.10~2022.06) 등의 연구를 통해 바이오 소재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GRIDA(그리다), 복잡한 실험 절차에서 벗어나 연구 본연에 집중하다

GRIDA(그리다) 솔루션.©우당네트웍

바이오 분야에서 AI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CRO 기업 또한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전통적인 실험 영역을 최첨단 서비스로 전환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당네트웍은 공공 데이터 기반의 One-Step 실험 대행 서비스 ‘GRIDA’ 플랫폼 구축했다. GRIDA는 연구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험 설계부터 분석 결과 도출까지 실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연구 지원 서비스다. 

GRIDA는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컨설팅 △실험 의뢰 △실험 설계 △수행 △데이터 분석 △판독 보고서 제공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실험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실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해 더욱 정밀한 연구 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

GRIDA의 또 다른 강점은 신약 개발과 임상 연구 과정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CRO(임상시험수탁기관) 그룹과 협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자들은 GRIDA를 통해 실험 초기 단계부터 제형 개발, 전임상 연구, 임상시험까지 모든 연구개발 단계에 대한 대행 서비스(CRO)를 손 쉽게 의뢰할 수 있다.

이러한 전문가들과의 협력은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우당네트웍은 맞춤형 연구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실험 비용 절감까지 지원한다. 즉, GRIDA는 연구자들이 복잡한 실험 절차에 얽매이지 않고 연구 본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적의 연구 환경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우당네트웍은 연구자들이 최신 실험 장비와 연구 공간을 활용해 최적의 환경에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우당네트웍이 갖춘 세포 배양 장비와 시스템을 이용해 다양한 세포 실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직 병리 처리 장비를 통해 세포 및 조직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전자와 단백질 분석 장비로 유전자 발현 수준과 단백질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서울바이오허브에 위치한 우당네트웍의 실험실에서는 연구자들이 최신 연구 장비를 활용해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숭실대학교 인공지능 분석센터에서는 AI(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도록 지원한다. 

우당네트웍은 강원도 동물실험 센터를 통해 동물실험 서비스와 조직 분석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또 연구자들이 조직 및 세포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염색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H&E 염색을 이용해 조직의 형태와 구조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면역염색(IHC) 서비스를 통해 특정 단백질의 발현과 조직 내 분포를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우당네트웍은 형광 염색 및 In situ RNA 염색 서비스, 세포 내 유전자 발현 변화 정밀 분석, 다수의 샘플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도록 조직 마이크로어레이(TMA) 블록 제작 및 분석 서비스 등 다양한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개발도 맞춤형 시대…빅데이터, AI 기반 연구 컨설팅 서비스로 최고의 결과 도출

우당네트웍은 공중보건의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연구 컨설팅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우당네트웍만의 자체 데이터베이스로 신뢰성을 높였다. 연구자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연구개발 시대를 연 것이다. 

우당네트웍이 활용하는 데이터베이스는 WikiPathways, Reactome, Gene Ontology, Molecular Signature Database,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등 공신력 있는 연구 데이터로 구성돼 있다.

우당네트웍의 분석 플랫폼을 활용하면 연구자들은 실험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험 데이터가 분석 플랫폼에 자동으로 업로드돼 저장되며,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미지 분석 기술로 연구자들이 실험 데이터를 보다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자들은 실험 이미지를 업로드한 후 병변 및 염증 여부 등을 분석하고, 정량적 수치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AI 기반 이미지 분석은 연구 결과의 명확성을 높이고, 데이터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한다.

우당네트웍은 연구자들에게 신뢰받는 연구 파트너로 자리 잡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구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바탕으로 서비스 재이용률이 7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연구자 및 기관 이용률 또한 300% 증가하면서 연구 커뮤니티 내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초기에는 교수와 연구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던 우당네트웍은 최근 국가기관 및 임상의사들이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이용 기관의 범위를 더욱 확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중앙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의료원, 서울대학교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강북삼성병원, 한국한의학연구원 등 다양한 병원 및 연구소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국내 바이오 연구의 핵심 허브로 자리 잡고 있다. 

우당네트웍은 최신 기술을 활용한 연구 컨설팅과 실험 자동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연구자들이 보다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