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라퓨틱스, 중소벤처기업부 ‘스케일업 팁스’ 과제 선정
새로운 E3 리가아제 활용한 KRAS 단백질분해기반 암 치료제 개발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12-17 10:03   

단백질분해(TPD)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핀테라퓨틱스(대표 조현선)는 17일 중소벤처기업부의 ‘스케일업 팁스’의 시장확대형 R&D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VC와 연구개발전문회사 등으로 구성된 운영사가 유망 중소벤처를 발굴해 투자 후 추천하면 정부가 연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핀테라퓨틱스는 DSC인베스트먼트의 추천으로 선발됐다.

총사업비 15억 2500만원 규모의 이번 과제선정으로 핀테라퓨틱스는 향후 3년간 최대 11억4000만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본 지원금은 핀테라가 개발한 신규 E3 리가아제를 활용해 KRAS 단백질을 분해하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투여할 계획이다.

핀테라퓨틱스는 표적단백질분해 신약개발에 집중하는 바이오텍 회사로서 E3 리가아제 선정에서부터, 스크리닝, 결합력 및 활성 분석법, 최적화까지 신규 E3 ligase 발굴을 위한 플랫폼인 PinE3 를 구축하였고, 컴퓨터 화학, 구조생물학, Proteomics 등의 기술을 더해 지속해서 발전시키고 있다.

현재 임상에 진입한 TPD분야의 파이프라인은 대부분 CRBN에 집중되어 있으나, CRBN 기반 약물 개발은 특정 약물에서 주된 타깃인 CRBN이 일부 세포 유형에서 변형되거나 결핍될 수 있다는 점에서 표적단백질의 선택성이 제한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표적탈출 및 저항성 발현 등의 위험이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 TPD분야에서 기존에 주로 활용되는 E3 리가아제인 CRBN의 한계를 극복하는 신규 E3인 Ligase2 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치료제의 Unmet needs를 충족할 계획이다.

해당 과제의 타깃인 KRAS는 췌장암, 폐암, 대장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가장 빈번하게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유전자 중 하나로, KRAS 돌연변이는 정상적인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방해하여 암세포의 제한 없는 성장과 증식을 유발한다. KRAS 돌연변이는 암 치료의 주요 난제 중 하나이며, 전통적인 화학요법이나 표적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KRAS는 단백질 구조가 매우 작고, GTP 또는 GDP와 강하게 결합하는데, 이 결합을 방해할 약물의 설계가 어렵다. 게다가 KRAS를 억제하더라도 다른 RAS 패밀리 단백질(NRAS, HRAS)이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어 KRAS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기 어려워 수십 년간 약물 개발에서 난제(Undruggablel Target)로 여겨졌다.

최근 KRAS의 특정 돌연변이(G12C)를 표적으로 하는 저분자 억제제가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며, KRAS 표적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프로탁 기술을 통해 KRAS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접근법도 연구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KRAS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암세포에서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더욱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 억제제에 대한 내성 돌연변이 발생 가능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적 약물 개발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핀테라퓨틱스는 신규 E3 리가아제를 이용하여 KRAS 돌연변이 암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Ligase2-KRAS 프로탁을 개발함과 동시에, 특히 복용이 편리하고 통증이 없으며, 장기 복용도 가능한 약물전달방식인 경구형 화학물로 개발할 계획이다. 경구형 프로탁 개발은 현재 KRAS 억제제 및 분해제 개발시장이 아직 극복하지 못한 블루오션이므로, 본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TPD 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삼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핀테라퓨틱스는 올해 들어 다양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월에는 국가신약개발사업(KDDF)의 ‘글로벌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사업’에서 비임상 단계의 과제로 선정되어, 고형암 분야 CK1a 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분자접착제를 연구하고 있다. 

회사는 내년 중에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제출하고 임상시험에 진입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10월 말에는 스페인과 미국 등에서 열린 세계적인 학회에 참석해 각각 다른 주제로 PinE3 플랫폼과 CK1a MGD에서의 연구성과를 공개한 바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