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제약, 3Q 제품 누적매출 고덱스 486억원 전년 동기比 7% 감소 등
전년 동기 比 타미풀 22억원 11% 감소, 기타 제네릭 785억원 28% 감소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12-03 06:00   수정 2024.12.03 10:43

셀트리온제약 매출 구조는 기존 제품 중심에서 상품과 용역 중심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매출은 감소세를 보였지만, 상품 매출의 안정적인 성장과 용역 매출의 증가가 이를 상쇄하며 전체 매출의 상승을 이끌었다.

약업닷컴이 셀트리온제약 2024년 11월 분기보고서(3분기 및 누적 9개월)를 분석한 결과, 셀트리온제약의 매출은 제품, 상품, 용역으로 나뉘어 각각의 유형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3423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상품 매출과 용역 매출의 성장에 크게 힘입은 결과다.

셀트리온제약 3분기 누적 제품 매출은 1292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1630억원 대비 21% 감소했다. 

제품별로 살펴보면, 고덱스는 486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34억원(-7%) 감소했고, 타미풀은 22억원으로 3억원(-11%) 감소했다. 특히 기타 제네릭 제품은 785억원으로 301억원(-28%)의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이에 따라 제품 매출의 전체 매출 비중은 56%에서 38%로 18%p 하락하며 비중이 축소됐다.

상품 매출은 1306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1035억원 대비 26% 증가했다. 주요 품목별로는 램시마가 318억원으로 전년보다 4억원(+1%) 증가하며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했다. 허쥬마는 159억원으로 50억원(+46%) 증가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트룩시마는 80억원으로 30억원(-27%) 감소했다. 

기타 상품 매출도 748억원으로 247억원(+49%) 증가하며 상품 매출의 성장세를 견인했다. 이로 인해 상품 매출의 전체 매출 비중은 35%에서 38%로 3%p 상승했다.

특히 용역 매출은 82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의 271억원 대비 204% 증가하는 큰 성장을 보였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9%에서 24%로 15%p 상승하며 중요성이 부각됐다.

 

셀트리온제약 3분기 누적 매출은 3423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2936억원 대비 16.6% 증가했다. 그러나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모두 감소했다.

매출총이익은 877억원으로 전년 동기 931억원보다 5.8% 감소했으며, 매출총이익률도 31.7%에서 25.6%로 6.1%p 하락했다. 이러한 하락은 제품 원가 상승이나 상품 매출 비중 증가와 같은 매출 구조의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영업이익 역시 268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309억원보다 13.4% 감소했으며, 영업이익률은 10.5%에서 7.8%로 2.7%p 하락했다.

순이익은 158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206억원에서 23.3% 감소했으며, 순이익률은 7.0%에서 4.6%로 2.4%p 하락했다.

상품 매출은 1,306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1,035억원보다 26.2% 증가했다. 상품 매출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5.2%에서 38.2%로 2.9%p 상승하며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반면 연구개발비는 89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83억원 대비 7.3% 증가했다. 매출 대비 비중은 2.8%에서 2.6%로 0.2%p 감소했다.

해외 매출 및 수출은 65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43억원 대비 51.7% 증가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해외 매출의 매출 내 비중도 1.5%에서 1.9%로 0.4%p 상승했다.

셀트리온제약 3분기 매출은 1281억원으로, 매출총이익은 34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총이익률은 26.6%로, 매출의 약 4분의 1 수준의 수익성을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136억원으로,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10.7%였다. 순이익은 83억원으로, 순이익률은 6.5%였다. 순이익률은 매출의 약 6.5%다.

상품 매출은 456억원으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6%였다. 연구개발비는 27억원으로, 매출 대비 비중은 2.1%를 기록했다.

해외 매출 및 수출은 41억원으로, 매출 대비 비중은 3.2%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