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초격차 바이오헬스 분야 유망창업기업들이 글로벌 메가 트렌드로 자리 잡은 AI 기술과의 융합과 이를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2024 DIPS 글로벌 테크 콘'에 참여한다고 26일 밝혔다.
27일까지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바이오 헬스 등 딥테크 분야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 (DIPS 1000+ 프로젝트. 이하 초격차 사업) 24년도 성과 공유회 형태로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글로벌 기술세미나, 패널토론, 세계 주요 바이오 선진국 기관들과의 라운드 파트너링 형태로 진행된다.
이중 ‘신약 개발에서의 AI 활용(AI Initiative in Drug Development)’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글로벌 기술세미나에서는 국내외 AI 신약 개발 전문가들의 글로벌 기술 세미나와 패널토론 등을 통해 전 세계 AI 신약 개발 트렌드와 K-바이오헬스 분야의 AI 접목 방안 등을 논의한다.
이 밖에도 초격차 바이오헬스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요 바이오 선진국 대표기관들을 초청, 해당 국가의 바이오 생태계와 지원프로그램 등을 확인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글로벌 라운드 파트너링’도 진행한다.
한편 이번 행사의 개막행사로 진행되는 초격차 사업 유공자 포상에서 안전성평가연구소 생체신호연구센터 이수진 연구생이 초격차 참여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대체 독성시험 지원 등의 공로를 인정받아 중기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은 AI 기술 융합을 통한 신약 개발 등 바이오 분야 기술 혁신과 글로벌 협업을 통한 사업화 방안 마련을 위해 국내 유망 창업기업과 전문가들이 논의의 장을 마련한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이하 초격차 사업)의 바이오헬스 분야 주관 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KIT, 소장 허정두)는 26일 해당 사업의 성과 공유행사인 ‘2024 DIPS 글로벌 테크 콘’을 개최, 글로벌 기술 세미나 및 패널토의, 파트너링 등을 통한 혁신기술 조망과 글로벌 사업화 촉진의 자리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창업진흥원과 안전성평가연구소가 공동 주관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바이오헬스분야 산학연 전문가 및 초격차 사업 참여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약 개발에서의 AI 활용(AI Initiative in Drug Development)’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글로벌 기술 세미나에서 최근 신약 개발 혁신 트렌드로 자리한 AI 기술 활용에 대한 전 세계적 동향과 현황을 조망하고, 우리 기업들의 도전과 과제에 관해 토론할 예정이다.
싱가포르 세포 치료제 스타트업인 Cellvec PTE의 최고 운영 책임자(COO) 가야트리 샤르마(Gayatri Sharma) 박사가‘AI를 활용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의 발견 가속화(Accelerating discovery in cell and gene therapies using AI)’라는 제목으로 신약개발과 의료 현장에서의 AI 적용 실제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 신약융합연구원의 표준희 부원장이‘생성형 AI 시대, 진화와 혁신의 K-Bio 산업’이라는 제목으로 국내 바이오산업계 내의 AI 기술 혁신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하는 발표에 나선다.
패널 토론에서는 국내외 AI 신약 개발 전문가 5명(표준희 부원장, AI 신약융합연구원 박준석 센터장, 대웅제약 고준수 대표, ㈜아론티어 최재문 대표, ㈜칼리시 강상구 대표, ㈜메디사피엔스)이 참가해, 혁신 바이오·AI 융합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개척 전략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제시한다.
이 밖에도 초격차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촉진을 위해 마련된 '글로벌 라운드 파트너링’에서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 글로벌 바이오 선진국 6개국의 주요 기관들이 참여해 해당 국의 바이오 협업 생태계와 정부 지원 프로그램 등을 소개하고, 초격차 기업들과의 라운드 파트너링을 진행, 초격차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의 실질적인 기회의 자리가 마련된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초격차 분야 유망 창업 기업 지원 사업인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의 바이오헬스(신약·소재) 분야 주관 기관을 맡아 75개의 유망 창업 기업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01 | 제8차 약제급여평가위…녹십자·레코르다티 신... |
02 | 쎌바이오텍, R&D 투자로 단기 실적 주춤…장... |
03 | 면허 위조 한약사 사건…“개인 일탈 아닌 제... |
04 | 중앙대-제약바이오협회,공동 연구·인재 교류... |
05 | 반복되는 유찰·독식 우려…영남대병원 의약품... |
06 | 온코닉테라퓨틱스,‘자큐보’ 물질특허 2040년... |
07 | 샤페론, 아토피·알츠하이머 등 파이프라인 ... |
08 | 바이오스타, 자폐증 재생의료 치료 일본 후... |
09 | 로킷헬스케어, ‘당뇨발 맞춤형 피부 재생’ ... |
10 | 셀트리온, ‘앱토즈마’ IV 제형 미국서 CR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