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단법인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재단, 대표 허경화)은 6일(현지시각) 스웨덴바이오협회(Sweden Bio) 및 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Business Sweden)와 함께 '한-스웨덴 크로스-보더 컨퍼런스(Korea-Sweden Cross-Border Conference)'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스톡홀름 스웨덴 왕립 공학과학 아카데미(IVA)에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북유럽 바이오 생태계의 중심지인 스웨덴의 혁신성을 이해하고 이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구체화하는 것을 목표로, 양국 간 실질적인 협력을 촉진하고 공동연구, 투자 등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고자 기획했다. 또 양 기관이 지속 가능한 협력망을 구축해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뒀다.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충북창조혁신센터, 스웨덴 왕립 공학과학 아카데미, 플레리에(Flerie, 스웨덴 투자사)의 후원으로 이뤄진 이번 행사는 바이오텍·제약사·투자사가 협력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플랫폼을 마련하고, 글로벌 시장에 더욱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재단은 전했다.
스웨덴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유럽을 선도하는 국가 중 하나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텍 및 제약사들이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스웨덴의 생명과학 산업은 첨단 치료의약품와 정밀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세포 치료 분야에서 북유럽 국가 중 가장 많은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스웨덴은 바이오테크 연구의 품질과 연구 산출물 및 상업화 측면에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체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25%는 희귀질환 치료에 집중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제약바이오 업계 전문가와 투자자들의 패널 토론 및 사전 선정된 한국 및 스웨덴 바이오텍의 IR 발표로 진행했다. 현장에는 한국과 스웨덴의 바이오텍 및 제약사, 투자사 등 약 70명이 참석했다..
첫 번째 패널 토론 '크로스-보더 연구 및 사업 개발 가속화(Accelerating Cross-Border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에서 동아에스티 박재홍 사장은 파트너십 성공의 핵심이 장기적인 신뢰와 관계 유지에 있다고 강조하며, 글로벌 협력에서 지속적인 소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 앤 마리 벤첼 최고사업책임자는 파트너십의 투명성과 상호 신뢰의 중요성을 언급했으며, 베리그래프트 페터 비에른크비스트 대표는 한국과 스웨덴의 문화적 유사성이 협력을 원활히 이끄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패널 토론은 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 브리타 스텐손 글로벌 총괄이 좌장을 맡아 '크로스-보더 투자 및 전략적 파트너십 육성(Fostering Cross-Border Investment and Strategic Partnerships)'을 주제로 진행했다.
한국투자파트너스 이상우 지사장은 한국투자파트너스와 플레리에가 여러 기업과 협업으로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온 경험을 언급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뢰를 쌓고 유연하게 협업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플레리에 테드 피얄만 대표는 한국과 스웨덴이 생명과학 분야에서 강점을 공유하고 있으며, 특히 두 나라의 제조 및 혁신 역량을 결합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진 IR 발표에서는 KIMCo재단이 선정한 바이오벤처들이 각자의 혁신적인 기술과 전략을 소개했다. 발표 내용은 △종양 미세환경 내 새로운 타겟을 겨냥한 항체 치료제(아테온바이오 최소희 대표) △일시적으로 혈뇌 장벽을 개방하는 초음파 기술(뉴머스 박주영 대표) △ANGel 플랫폼을 활용한 차세대 면역 항암 치료제(온코랩 김종성 대표) △맞춤형 다기능 CAR-T 항암 유전자 치료제(카바이오테라퓨틱스 이헌주 대표) 등이다.
스웨덴바이오협회 마르요 푸우말라이넨 국제협력 이사는 "스웨덴은 강력한 생명과학 생태계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연구기관과 혁신적인 연구자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며 "한국은 스웨덴의 독창적 연구 및 개발 환경에서 영감을 얻고, 양국의 협력으로 바이오 및 제약 분야에서 큰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기대했다.
KIMCo재단 허경화 대표는 "이번 컨퍼런스는 양국이 보유한 제약·바이오 분야의 강점을 공유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중요한 기회"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과 교류로 양국 제약·바이오산업의 성장을 도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1 | 한국콜마, 2분기 매출 7308억원…전년比 10.7... |
02 | 약업신문 HLB 기사, 팩트 입각한 정론 보도 |
03 | 제이피아이헬스케어,수요예측 경쟁률 942.71... |
04 | 릴리 경구 GLP-1 복용 72주 후 체중 12.4% ↓ |
05 | 디앤디파마텍, 섬유화질환 치료제 'TLY012' ... |
06 | 큐로셀, '안발셀' 성인 백혈병 임상1/2상 I... |
07 | 넥스모스, ‘압타민C’ 국제저널 ‘Frontiers i... |
08 | 원텍 ‘베인케어’, 브라질 의료기 인증 획득…... |
09 | 미국 FDA, 의약품 제조시설 건설 앞당기는 ... |
10 | 동아참메드, 휴피트와 지분투자 - 독점 판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