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미그룹의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가 오는 28일 예정인 임시주총 결과를 자신하며 그룹 경영권을 뺏기지 않고 현행체제가 계속될 것이라고 7일 밝혔다.
한미사이언스는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한미그룹 밸류업 및 중장기 성장전략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임종훈 대표는 인사말에서 “28일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총 결과와 관계없이 기존 경영 체제는 2027년까지 계속될 것이고 12월 19일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이사진 재편을 통한 새 리더십이 구축될 것”이라며 “2025~26년에 걸쳐 이사회 인적 교체가 이뤄지는데 2026년 3월이면 완전한 경영권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제약산업과 한미그룹의 미래를 위해서도 제3자의 개입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며 “절박한 경쟁환경 속에서 기업 미래가 아닌 사익을 위해 비 전문가가 경영에 간섭하는 것은 회사를 망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한미사이언스는 임 대표가 언급한 것처럼 2026년 한미사이언스 및 한미약품 등 지주사와 핵심계열사 이사회도 장악, 그룹 경영전반을 지배해 사업 안정화 및 한미약품그룹을 지속적으로 성장시켜 나가다는 전략이다.
한미사이언스는 새로운 전략 방향 키워드로 ‘비유기적 성장(Inorganic Growth)’과 ‘다각화’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한미그룹은 오는 2028년까지 그룹이익을 1조원대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미사이언스 및 한미약품의 이사회와 관련, 25~26년 정기주주총회를 거치며 임종훈 대표의 경영권은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오는 28일 열릴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주총회에서 정관변경은 불가능하며, 설령 이사진이 5:5 동수로 재편돼도 임종훈 대표이사체제는 2027년까지다. 오는 12월 19일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41.4%의 지분을 보유한 한미사이언스의 요청이 받아들여지면 이사진 재편을 통한 새 리더십 구축이 가능해진다는 게 한미사이언스 설명이다.
한미사이언스에 따르면 25년 3월 정기주총 시 3자연합측 이사진으로 분류되는 3명의 이사진 임기가 만료되고, 26년 3월 주총에도 송영숙 회장의 임기가 만료됨으로써 임종훈 대표 측을 지지하는 이사진 진입이 가능해져 지주사 지배력은 보다 커진다.
![]() |
한미약품의 경우 현재 임종훈 대표측 이사진이 숫적으로 불리한 구조지만 25년 3월 정기주총 시 3자연합측 1명의 임기 만료, 26년 3월, 5명의 이사진이 한꺼번에 임기가 만료된다. 이에 따라 임종훈 대표측 이사 기용이 가능해져 한미약품의 이사회까지 주도하게 됨으로써 이사회를 통한 경영 안정화의 빅 모멘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기 성장전략의 핵심은 그간 고수했던 한미만의 성공방정식에 적극적인 인수합병, 투자 및 제휴 등 외적(inorganic) 외적 성장동력을 추가하는 것이다. 날로 치열해지는 외부환경을 고려했을 때 자체적인 연구개발과 역량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공개한 중장기 성장전략은 신규 TA(Therapeutic Area, 치료영역) 확대,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외부 유망 혁신 기술 및 물질 선점, 헬스케어 밸류체인 사업 다각화, 제약 원료 CDMO 사업 확대, 온라인팜의 유통 역량 강화 등의 그룹 전반의 세부 전략 과제들을 포함했다.
먼저 ‘M&A’를 통한 성장과 관련해 한미그룹 내 제약부분이 보유하지 않았고 성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정신질환 및 신경계 관련 기업 인수합병으로 기존 보유 품목들과 시너지를 창줄한다.
정신질환계 치료약의 경우 시장 규모를 1조3900억원으로 추정하며, 장기 투약 필요성과 함께 기존 한미의 개량신약 개발 역량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연관해 신경계 분야 시장 규모도 1조 1959억원에 달하는 등 신규 신약 개발 기회가 존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어 그룹사 전반의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R&D 역량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취할 계획이다.
주요 혁신 신약 개발 영역은 ‘비만/대사’(Obesity/Metabolism), ‘항암’(Oncology, ‘희귀질환’(Rare Diseases), ‘신규플랫폼’(Modality) 등 총 4가지 분야로 자체 연구개발과 함께 투자로 기술도입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약 20~30여개의 혁신 바이오테크기업들과의 오픈이노베이션으로 외부의 유망한 혁신 기술∙물질을 선점할 계획이다. 내부 역량에만 의지해서는 급변하는 시장상황을 따라잡기 힘들다는 절박함 때문이라는 게 회사 얘기다.
또 '헬스케어 밸류체인 사업 다각화' 전략도 펼친다. 국내외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의료기기 분야 시장 내 수술 중 지혈 혁신, 조직봉합 및 유착방지 주력분야에서 동반 진단 및 바이오마커 수술용 로봇을 비롯해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로 확장해 나가기로 했다.
치료 중심의 제약 영역 외 컨슈머 헬스 영역으로 진출해 건강기능식품, 기능성화장품, 퍼스널케어 제품 등 적극적인 M&A를 통해 사업 영역을 다각화함으로써 신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원료 CMO/CDMO 사업 확대'(정밀화학), '상품 다양화 및 물류 역량 강화'(온라인팜), '유럽 및 북미 등 신규 시장 개척'(JVM) 등도 그룹사의 지원아래 적극 추진해야 할 과제로 선정했다.
한미사이언스는 한미그룹의 중기 전략 달성을 위해 최대 8천억원의 추가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약업에 대한 이해가 있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투자자가 있다면 언제든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한미약품 지분구조는 현재기준 한미사이언스가 41.419%를 보유해 압도적 최대주주이며 9.998%를 보유한 국민연금이 2대주주다. 3자연합이 보유한 지분은 9.141%다.
임종훈 대표는 “한미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향 후 2년여간 한미그룹의 경영권을 강력하게 지배함과 동시에 한미그룹의 중장기 성장 전략으로 임직원, 이사회, 주주들의 신임을 받는 책임경영을 해 나갈 것"이라며 "그룹 내 재단 역할의 정상화와 함께 가족화합을 이끌어 내기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01 | 한국콜마, 2분기 매출 7308억원…전년比 10.7... |
02 | 약업신문 HLB 기사, 팩트 입각한 정론 보도 |
03 | 제이피아이헬스케어,수요예측 경쟁률 942.71... |
04 | 릴리 경구 GLP-1 복용 72주 후 체중 12.4% ↓ |
05 | 디앤디파마텍, 섬유화질환 치료제 'TLY012' ... |
06 | 큐로셀, '안발셀' 성인 백혈병 임상1/2상 I... |
07 | 넥스모스, ‘압타민C’ 국제저널 ‘Frontiers i... |
08 | 원텍 ‘베인케어’, 브라질 의료기 인증 획득…... |
09 | 미국 FDA, 의약품 제조시설 건설 앞당기는 ... |
10 | 동아참메드, 휴피트와 지분투자 - 독점 판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