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스로비드, 팔수록 손해...차라리 정부가 배송해라"
" 마진 4%인데 카드 수수료가 4%...팔수록 손해보는 구조" 유통업체 푸념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10-29 12:00   수정 2024.10.29 13:35
팍스로비드. ©한국화이자

의약품유통업체와 약국들이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낮은 유통 마진으로 불만이 커지고 있다일각에서는 필수의약품이었던 만큼 퇴장방지의약품 수준의 마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화이자제약 팍스로비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의약품유통업체들에게 4% 마진만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의약품유통업체는 약국 거래 시 카드 수수료만 약 4% 발생하는데 팍스로비드를 판매하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이에 일부 의약품유통업체는 약국 판매시 반품 불가 조건으로 판매하거나 일각에서는 카드 결제가 아닌 현금 결제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일선 약국에서도 반발을 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약품유통업체 관계자는 "국가 필수의약품으로 지정됐던 팍스로비드를 시장에서 유통될 수 없는 마진을 주는 것은 정부가 유통업계와 약국가를 너무 무시하는 것 아니냐" "저마진을 고수한다면 팍스로비드 취급 거부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가가 공급하던 필수의약품이 일반 유통으로 전환된 만큼 팍스로비드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줘야 하는데 4% 마진으로는 약국에 공급하기는 힘들다"고 호소했다.

이에 한국의약품유통협회와 약사회 차원에서도 팍스로비드 유통 문제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의약품유통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시중에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 "필수의약품이었던 만큼 최소한 퇴장방지의약품 수준의 유통 마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약품유통업계 내부에서는 차라리 계속해서 정부가 책임지고 약국에 배송하는 것이 좋겠다는 푸념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