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생명과학이 요천추 신경근병증 통증 치료제 ‘KLS-2031’ 미국 FDA 1/2a상 임상시험에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보했다.
회사 26일 '최종 결과' 공시에 따르면 최종분석 결과 104주 차까지 발생한 중대한 이상반응(SAE)은 총 1명에서 1건(양성 폐 신생물) 이었고, 이 약물과 인과관계 평가 결과는 '가능성 적음(unlikely)'으로 확인됐으며, 증상발현 후 83일 째 회복된 것으로 보고됐다.
또 치료 후 발생 이상반응(TEAEs)를 경험한 대상자 수는 총 15명(KLS-2031 저용량 2명, 중용량 4명, 고용량 4명, 위약군 5명)으로, 그 중 약물과 관련된 치료 후 발생 이상반응(drug-related TEAEs)은 총 2명으로 나타났다. KLS-2031 고용량군 1명의 대상자에서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상승이 관찰됐고, 증상발현 후 29일째 회복됐다. 위약군 대상자 1명이 두통과 다한증을 경험했고, 증상발현 후 25일째 회복됐다.
이를 통해 KLS-2031의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 최종 결과 보고서는 계획서에 따라 총 연구기간(104주)까지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며 "당사는 별도의 KLS-2031을 투약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5년차까지의 장기 안전성 및 내약성 데이터 확보를 위한 장기추적시험을 진행중으로, 향후, 후기임상 권장용량(RP2D) 선정 및 추가적응증 등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속 임상 개발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임상시험 제목은 '요천추 신경근병증(LSR)으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경추간공 경막외 주사로 투여된 단일 상승 용량의 KLS-2031의 안전성 및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인체 대상 최초, 이중눈가림 및 위약 대조의 제 1/2a상 임상시험'으로 2019년 3월 18일 승인(신청일:2019년 1월 31일)받아,Lumbosacral Radiculopathy(LSR, 요천추 신경근병증) 기인 중등~중증 통증 (PI-NRS 4~9)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미국 내 2개 병원에서 2020년 4월 16일부터 2023년 10월 18일까지 진행됐다. (52주차 까지 이중눈가림 연구 기간 완료 대상자 12명, 그 중 104주차(눈가림 해제 후 추가 52주)까지 안전성 평가 기간 완료 대상자 10명)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늘의 헤드라인
01
대한약사회, 유니온약품 불법 리베이트 사건...
02
삼천당제약, 상반기 매출 성장에도 영업손실...
03
"비임상시험, 단순 자료 아닌 전략적 자산…...
04
"심평원, 성인 신경섬유종 환자 외면…소아 ...
05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센터장, 성비위 ...
06
JW중외제약,상반기 매출 6.7%-영업익 24%↑.....
07
동아ST,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신약...
08
미국,EU산 의약품 관세 상한선 15% 제한.....
09
큐라클-맵틱스, Tie2 항체 MT-101… 신장질환...
10
딥슨바이오, 초음파 자극기 '뉴클레어' 미국...
[산업]
코오롱생명,신경근병증통증 치료제 'KLS-2031' 미국 FDA 1/2a상 안전성 내약성 확인
[산업]
코오롱생명,신경근병증통증 치료제 'KLS-2031' 미국 FDA 1/2a상 안전성 내약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