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그룹 계열사, AACR서 연구 성과 발표 잇따라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 결과 다수 공개 예정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4-02 10:12   수정 2024.04.02 10:41

HLB그룹 계열사들이 신약 파이프라인 연구 성과를 국제 학회에서 잇따라 공개한다.

2일 HLB그룹에 따르면 HLB테라퓨틱스와 HLB생명과학, HLB의 자회사 엘레바가 오는 5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서 각각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HLB테라퓨틱스는 이번 발표에서 교모세포종을 적응증으로 하는 ‘OKN-007+테모졸로마이드 병용 치료제 임상 2상’에 대해, 중간 분석 이후 추적 관찰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7월 공개된 해당 임상 중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요 평가지표인 ‘6개월 생존 환자’ 비율이 75.8%에 달해 목표 기준점인 60%를  웃돌았으며, 생존기간 중간값(mOS)은 9.3개월로 나타났다.

HLB생명과학 R&D도 이번 학회에서 발표한다. 회사 대장암 항암제로 비임상 단계에서 개발중인 'HLS-22001'은 대장암세포들이 증식하는 과정에서 세포분열의 특정 단계 (G2/M기)를 저해하여 항암효과를 갖는 약물이다. 

발표 초록에 따르면 대장암 치료제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5-FU 등 1차 화학요법치료 후 내성이 생긴 대장암세포에 HLS-22001를 처리함으로써, 암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사실로부터 다양한 기존 항암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규 기전 항암제임을 확인했다. HLB생명과학 R&D는 HLS-22001에 대해 비임상연구를 조속히 마무리 짓고 내년중 임상단계 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HLB 미국 자회사 엘레바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에 대한 약동학적 상세 분석 결과를 담은 연구 논문을 발표한다. 리보세라닙과 간 효소들 간 대사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이번 연구는 엘레바의 연구진들이 주도했으며 미국의 신약개발 솔루션 전문 기업인 알타사이언스(Altasciences)도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심경재 HLB그룹 대외협력팀 상무는 “전세계 암 전문가들과 빅파마들이 모인 자리에서 그룹사 신약 개발 성과를 공유한다는 건 고무적인 일”이라며 “특히 리보세라닙 경우 향후 적응증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약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