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LT-2 억제제 ‘포시가(디파글리플로진)’이 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을 포함, 전체 박출률 범위의 만성 심부전(NYHA class II-IV)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했다.
이에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이를 기념하는 간담회를 3일 플라자호텔 서울에서 진행했다. 회사는 간담회를 통해 포시가가 DELIVER 임상을 통해 좌심실 수축기능 경도 감소 및 보존 심부전 환자를 포함해 전체 박축률 범위의 만성 심부전 환자를 위한 치료 옵션으로서 임상적 유용성을 강조했다.
![]() |
윤종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국내외 주요 심장・심부전 학회의 가이드라인 변화를 통해 본 SGLT-2 억제제의 위상’이라는 주제로 첫 발표를 진행했다.
윤 교수는 “심부전은 환자의 절반이 진단 후 5년 이내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우리나라는 고령화 추세로 심부전 유병률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며 “심부전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해 조기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최근 국내외 심부전 가이드라인에서는 심부전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해 입증된 SGLT-2 억제제를 1차 치료제로 권고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에 따르면, 미국 3대 심장학회인 미국심장학회(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CC),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그리고 미국심부전학회(Heart Failure Society of America, HFSA)는 2022년 개정된 심부전 가이드라인을 통해 HFpEF과 HFmrEF 치료에 SGLT-2 억제제를 권장했다.
이와 더불어 국내 대한심부전학회 역시 HFpEF 환자에서 당뇨병 유무와 관계없이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또는 심혈관계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 SGLT-2 억제제를 Class-1으로 권고하고 있다.
윤 교수는 “2021년 ESC(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에서 박출량 감소 환자(HFrEF)만을 대상으로 권고됐ㅅ던 것에서 범위를 확대한 것으로, 만성 심부전에서 SGLT-2 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인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두 번째 연자로 나선 오재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포시가, 박출률 보존 심부전 포함 만성 적응증 확대’를 주제로 포시가의 3상 임상시험인 DELIVER 연구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 |
오 교수는 “DELIVER 연구 결과가 환자와 실제 임상에서 중요한 이유는 디파글리플로진이 박출률과 무관하게 효과를 발휘해 처방이 가능한 심부전 환자에게 고려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좌심실 박출률 경도 감소 및 보존 심부전 환자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 포시가의 이번 연구 결과는 가장 최근에 나온 치료 가이드라인들을 강화해 주는 근거가 된다. 실제 임상에서 포시가를 비롯해 국내에서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허가받은 SGLT-2 억제제의 임상적 유용성을 지지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포시가는 DELIVER 연구를 통해 박출률이 약간 감소되거나 보존된 심부전 환자의 심혈관 사망 및 심부전 악화 위험을 위약 대비 유의미하게 낮춘 것을 확인했다.
오 교수는 “포시가는 심혈관 사망 또는 심부전 악화로 평가한 복합평수변수를 위약군 대비 18% 낮췄다”며 “이러한 결과는 좌심실 박출률(LVEF) 49% 이하, 50~59%인 환자군 및 60% 이상인 환자군 하위군을 비롯해 나이, 성별 NYHA Class II-IV, NTproBNP level, 2형 당뇨병 여부와 신장기능 등에 따른 유효성 분석 결과, 일관되게 개선된 경향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포시가의 치료 혜택이 LVEF와 관계없이 전체 만성 심부전 환자로 확장된 것을 의미한다”며 “또한 KCCQ(Kansas City Cardiomyopathy Questionnaire) 총 증상 점수도 측정한 환자 보고 결과에서 증상 개선의 혜택도 확인됐다”고 부연했다.
01 | 엑셀세라퓨틱스, 일본 펩티그로스와 ‘합성 ... |
02 | 한의협 “자보 경상환자 치료 8주 제한, 근거... |
03 | 인벤티지랩, 장기지속형 약물중독치료제 임... |
04 | 셀트리온, EADV 2025서 ‘옴리클로’ 등 신규 ... |
05 | 툴젠, 정부 지원 148억원 투입 ‘한국형 ARPA... |
06 | 큐로셀, 바이오센추리 CEO와 글로벌 CAR-T ... |
07 | 큐라클, 보령과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CU01... |
08 | 로킷헬스케어, 글로벌 AI 연골 재생 임상 9... |
09 | 한국콜마, 아마존과 또 손잡고 K-뷰티 수출 ... |
10 | 한국오므론헬스케어, 콘도 카즈히데 대표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