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NOAC 리얼월드…결과 해석 시 주의점은?
객관적 해석 위해선 데이터 출처 및 연구 특성 고려해야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8-16 12:25   수정 2018.08.16 13:23
NOAC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하고, 제제간 경쟁도 지속되면서 각 제품별로 다양한 리얼월드 연구(Real World Evidence, RWE)를 발표하고 있다.

제제간 직접 비교(Head-to-head)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이 없는 상황에서 실제 임상에서의 효과와 안전성을 반영하는 리얼월드 데이터가 RCT를 보완하며 임상적 판단을 뒷받침 할 수 있기 때문이다.

RWE는 통제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광범위하고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효과와 안전성, 치료유지율, 복약순응도, 용량 조절 등 진료 현장의 패턴을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RCT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연구대상 선정 및 데이터의 취합 과정에서 올 수 있는 편향(bias) 등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해석을 위해 자세히 살펴야 할 요소들이 있다.


데이터 출처와 특징 확인 = RWE는 사용된 데이터의 출처와 연구 설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RWE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수집 시점, 추적 관찰기간, 분석에 포함된 환자의 특성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일례로 일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같은 통계분석 방법을 적용한 연구라도 데이터의 수집기간, 환자 선정기준, 추적관찰 기간 등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준 경우가 있다.

특히 NOAC은 환자의 동반질환이나 연령 등 위험인자에 따라 뇌졸중이나 출혈 발생 위험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CHADS2 또는 CHA2DS2-VASc 점수 등의 치료 전 환자 특성을 확인해야 한다.

최신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평가변수(예: 뇌졸중) 확인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기간 동안 추적관찰 되었는지,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경우 데이터 중복의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다.


전향적 또는 후향적 리얼월드 연구 = RWE는 시간 흐름에 따른 연구 설계 측면에서 크게 전향적 연구와 후향적 연구로 나뉜다.

후향적 연구는 이미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데이터만을 선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된다. 반면 전향적 연구는 사전 정의된 평가변수에 따라 실시간으로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이 이뤄진다.

전향적 RWE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사전에 정의된 평가변수에 따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함으로써 후향적 연구에 비해 편향 가능성이 낮다. 또한 전향적 관찰연구에서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임상에서의 복약순응도, 치료만족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NOAC에서 진행된 대표적인 전향적 연구로는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의 XANAP 연구를 꼽을 수 있다.

XANAP은 아시아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전향적 리얼월드 연구로, 연간 주요 출혈 발생률 1.5%, 위장관 출혈과 두개내 출혈 발생률이 각각 0.5%와 0.7%로 낮게 나타났으며 86.7%의 환자가 치료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연구에서 확인된 일관된 결과 = 약제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연구 설계와 다양한 환자군에서 도출된 결과가 모두 일관적인 것이 좋다.

일관적인 연구 결과는 곧 실제 치료 현장에서 마주하는 개별 환자에서도 예측 가능한 효과와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

특히 주요 출혈, 뇌졸중, 비중추신경계 전신색전증,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등 NOAC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가 일관될수록 해당 약제의 안전성 데이터에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