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호 마약안전기획관 국장 = 사진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달 새로이 신설된 ‘마약안전기획관’을 필두로 마약으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 만들기에 나선다. 우선 ‘재활’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김명호 마약안전기획관 국장(전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지난 14일 식약처 출입 전문기자단과 함께한 자리에서 올해 마약안전기획관이 가지고 있는 계획을 소개했다.
식약처와 행안부는 지난 2019년 4월 마약류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국장급 조직으로 마약기획관을 신설했다. 이후 4년이 지난 올해, 존폐의 위기에 있던 마약기획관은 지난달 31일 행정안전부 신설기구 평가 결과 정규 조직으로 편성됐다.
김 국장은 “이로써 식약처는 마약안전기획관을 중심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마약 관리 정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에 따르면 올해 마약안전기획관은 ‘재활’에 중심을 두고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그는 “마약 문제에 있어 예방은 기본이지만, 요즘 트렌드는 ‘재활’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며 “마약은 다른 문제들과는 달리 35% 이상의 재범률을 보이고 있는 만큼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예방, 단속, 재활 등 3단계로 나누어 마약 중독자 문제에 대해 접근하려고 한다”며 “국내 마약 문제에 맞는 여러 재활 프로그램들을 개발해 환자들을 도우려 한다. 오유경 처장도 마약 치료 재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마약안전기획관은 현재 서울과 부산에만 있는 재활센터 외 추가 재활센터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
김 국장은 “현재 전국 재활센터는 서울과 부산에만 있는데, 추가 예산 확보를 통해 국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역에 재활센터를 추가 설립하려 한다”며 “이미 일부 예산은 확보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재활센터 추가 설립뿐 아니라 환자 개인에게 맞는 ‘한국형 맞춤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산 확보와 기획연구를 준비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국장에 따르면, 마약 중독자마다 고통받고 있는 물질이 다르고, 또한 개인별 중독수준 또한 다르다. 이에 개인별 중독수준, 약물 등을 고려한 ‘한국형 맞춤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해 보다 효율적인 재활이 이뤄질 수 있게 하겠다는 것.
재활에 중점을 둔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마약류 문제에 소홀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마약안전기획관은 마약류 오남용 줄이기 위한 정책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김 국장은 “마약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사전 알리미 시스템’ 등을 활용해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처방 줄이기에도 힘쓰고 있다”며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NIMS)으로 보고되는 자료들을 분석해 프로포폴, 졸피뎀, 식욕억제제 등에 대해 처방 의사들이 안전사용기준을 따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전 알리미 시스템은 의사들이 정해진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며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해 처방 의사들에게 통보하다 보니 긴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마약류 의약품 수거 사업 또한 올해 기존 ‘도’ 단위에서 진행했던 규모를 ‘시’ 단위로 좁혀 새로이 시도하려 한다”며 “보다 집중된 역량을 통해 전 보다 높은 효율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