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스로비드 누적처방 환자, 보름만에 15배 급증…실질적 정부 지원 필요”
서영석 의원, 7일 복지위 예결소위서 복지부‧질병청에 서면질의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2-07 18:08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으로 재택치료환자가 급증하면서 이들 처방조제와 약 배달에 대한 충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은 7일 열린 복지위 예결소위에서 서면질의를 통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에 화이자사의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처방지원과 약배달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며 추경예산 증액안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서 의원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에게 “이번 추경안에 경구용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등 먹는 치료제 구입을 위한 기존의 76만2,000명분의 구매계약 대금 중 본예산에 반영되지 않은 나머지 40만명분에 대한 구입비가 포함돼 있다”며 “전세계적으로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물량부족 현상이 가속화될 것인 만큼 팍스로비드 확보에는 차질이 없는지, 추가 처방대상군 확대는 가능한지 답변 부탁드린다”고 질의했다. 

서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9만8,827명이던 재택 치료자 수는 최근 일일 신규 재택치료자가 2만명을 상회하면서 지난 7일 기준 14만6,445명에 달하고 있다. 팍스로비드 누적 처방 환자수 역시 지난달 20일 88명에서 이달 3일 기준 1,275명으로 보름만에 15    배 급증했다. 

이처럼 재택 치료자 수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처방량의 증가가 예측되고 있고, 7일부터는 팍스로비드 투여 대상이 기존 60대에서 50대 기저질환자까지 확대돼 증가 경향은 더욱 두드러질 것이란 전망이다. 

서 의원은 팍스로비드 공급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 전달되는 약 배달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재택치료관리 의료기관 담당약국이 당초 280개소에서 현재 472개소까지 확대되면서, 오미크론 확대 및 처방대상군 확대에 따른 추가 확대가 필요해 보인다”며 이에 대한 준비 계획을 물었다. 

그러면서 “보다 많은 약국들이 동참할 수 있게 하려면 약사들의 희생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원이 추가로 이뤄져야 한다. 예방접종, 신속항원검사, 재택치료관리의료기관 등 의료기관에 지원되는 예산을 감안하면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약국은 상대적 박탈감에 빠질 수도 있다”며 충분한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전했다.

이어 서 의원은 복지부 장관에게 재택치료 환자에 대한 처방약 조제 및 약 전달과 관련해 “현재 약 배달은 환자 가족이 직접 수령하러 오거나 보건소 직원이 직접 배달하거나, 지역약사회와 협의해 약국에서 사람을 쓰거나 퀵으로 배달되고 있다”며 “이를 위한 중앙정부 예산 지원이 없고 전액 지자체 예산으로 하다보니 지자체 재정 여건에 따라 약 전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그는 “복지부나 질병청 예산으로 확보해 각 지자체에 교부하는 형태로 약전달 실비 문제가 해결돼야 환자들에게 약이 적기에 원활하게 공급될 것 같은데 현재 정부 내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가”라고 물었다. 

또한 “재택치료환자 수가 늘어날수록 약 전달 실비 예산은 각 지자체에 더욱 부담으로 작용해 그 피해는 결국 국민에게 전가될 것”이라며 “약 전달 실비에 대한 예산지원이 빠르게 확보돼야 하는 만큼 언제쯤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지 답변해달라”고 빠른 조치를 당부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