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병원·의원 항생제 처방률 아직 40% 달해
김순례 의원 "의료기관 항생제 적정성 평가에 따른 페널티 실효성 없어"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29 14:22   수정 2018.10.29 14:23
의료기관의 감기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40%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김순례 의원은 29일 종합국정감사에서 건강심사평가원의 '최근 5년간 병원 종별 급성상기도감염(감기) 항생제 처방률'을 분석해 이 같이 지적했다.

한국은 항생제 오남용국가는 오명을 씻기 위해 2000년 의약분업을 시행했지만 여전히 하루에 국민 1,000명 당 31.5명이 항생제를 처방받고 있으며, 이는 OECD 평균 20.3명을 크게 웃도는 상황이다.

특히 감기에 대한 무분별한 항생제 처방이 문제시 되고 있다. 미국, 영국 등 해외 주요선진국에서는 감기가 세균이 아닌 대부분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라 세균을 죽이는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게 보고 있지만 우리나라 종합병원·병원·의원급은 아직도 감기 항생제 처방률이 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의 감기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은 2013년 25.2%에서 2017년 13.5%로 급격히 낮아졌지만, 2017년 기준 종합병원은 35.8%, 병원 44.28%, 의원급 39.5%로 여전히 40% 가량이 감기에 항생제를 처방해주고 있었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감기에 대한 항생제 처방을 주링기 위해 '의료기관 항생제 적정성 평가'를 시행하고 항생제 처방률이 높은 의료기관에게는 외래관리료를 감산, 항생제 처방률이 낮은 기관은 가산을 해주고 있지만, '최근 5년 항생제 적정성 평가결과'를 보면 4·5등급을 받은 의료기관 숫자는 4년 연속 2.200여곳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또한 해당 제도가 의원급에만 적용되고 40%대로 비슷한 처방률을 보이는 종합병원·병원은 제외돼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는 것.

김순례 의원은 "전세계적으로 연간 70만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사망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항생제 사용국인 우리나라는 어느 국가보다도 위험한 상황"이라며 "복지부에서는 항생제 오남용 심각성을 인지하고 항생제 과다처방을 억제할 실실적 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