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RFID 업계 반응 시큰둥…"의무화도 아닌데"
제약업계 “수십억 RFID 시설 투자비용 부담된다”
최재경 기자 cjk0304@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2-05-08 06:30   수정 2012.05.08 07:19

의약품 RFID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정부에 비해 제약업계는 투자비용에 대한 효율성을 제기하며 시큰둥한 반응이다.

지난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는 ‘의약품바코드 및 RFID 설명회’를 개최, 제약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의약품의 바코드 표시 의무화 현황과 RFID 도입 지원정책 등을 설명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제약업계 관계자 400여명이 참석해 바코드와 RFID 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지만, RFID 도입에 대해서는 초기투자에 대한 부담이 너무 커 정부지원 40%에도 도입여부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의약품에 표시제도는 2009년 표준코드로 바코드 표시 의무화를 적용, 2010년에는 15ml, 15g이하의 소형의약품에도 바코드 표시 의무화를 적용하는 증 단계적인 변화를 겨쳐 왔다.

2011년에는 유통기한, 로트번호 등 확장바코드 사용을 위한 기술지원을 시작해 2012년에는 지정의약품에 유통기한, 로트번호가 포함된 확장바코드(GS1-128) 표시를 의무화하고, 2013년에는 전문의약품에 확장바코드 표시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또, 2015년까지 지정 및 전문의약품에 일련번호가 포함된 바코드 표시(확장바코드, RFID)가 의무화된다. 

이에 정부는 보다 효율적인 의약품 관리가 가능한 RFID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면서 제약사에 확장바코드와 RFID의 도입을 동시에 권장하고 있다. RFID는 의약품 표준코드 13자리 숫자에서 검증번호를 제외 물류 식별자와 일련번호가 추가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 인식기술을 이용해 정보를 표현하는 수단이다.    

이에 의무화를 대비해 시설 도입을 해야 하는 제약사들은 확장바코드 시설과 RFID 시설을 선택해 도입해야 하는 상황, 문제는 두 시스템이 초기시설 투자비용이 너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약가인하 등으로 추자가 위축된 지금, RFID시설만 정부지원을 해줄것이 아니라 확장바코드 시설에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설명회에 참석한 제약업계 관계자들은 “확장바코드 시설은 도입 비용이 10억원정도 소요되는데 반해, RFID 시설은 124억원~16억원(현재 RFID 도입한 제약사의 경우) 가량의 비용이 소요되는 된다”고 지적하며 “시설도입에 상당한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의약품 바코드 및 RFID 설명회 주요 Q&A]
- RFID 시설은 고비용이다.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성이 있는가?

정확한 출고 내역 등 심평원 보고를 따져보면 인건비 절감에 효과적이다. 현재 태그비용이 60원으로 2~3원의 바코드에 비해 바싸지만 제약사 50%가 RFID를 도입한다면 태그비용은  개당 60원에서 상당수 낮아지는 효과 있을 것이다.

- 2D바코드나 RFID를 통합해 의무화할 계획이 있는가?

원활한 사용의 환경 조성이 필요하지만 하나로 의무화하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은 없다. 단, 의약품정보센터에서 2D바코드와 RFID를 동시에 읽을 수 있는 리더기 보급을 추진, 2D 70~80만원, 동시 리더기 120만원정도로 리더기 보급문제는 많은 제약사가 참여한다면 정부지원도 가능하다.

- 다른 나라 RFID 도입 사례는 어떤가?
유럽 등에서는 RFID를 사용하지 않는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부분적인 도입사례가 있고, 터키, 프랑스 등에도 일부 있다. 올해부터는 칠레에서 의약품 2~3품목에 적용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