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혔던 담을 헐어라~ '기넥신·타나민'
[혈액순환개선제] SK케미칼 '기넥신' 유유제약 '타나민'
이호영 기자 lhy37@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09-03-25 13:55   수정 2009.03.25 18:31

혈액순환장애는 30대 이후가 되면 혈관 자체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전 등의 이물질이 혈관 벽에 달라붙어 혈관이 좁아지고 혈액도 탁해지면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손발저림, 귀울림, 만성 피로,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 저하, 현기증 등의 초기 증상이 나타나다가 뇌졸중, 고혈압, 심장질환, 동맥경화, 당뇨병, 관절염, 치매 등의 질환으로 진행되는게 일반적이다.

우리나라도 경제적 발전과 함께 서구화된 식생활 습관으로의 변화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병이 증가해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혈액순환개선제는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해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의약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혈액순환개선제는 1천억원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표품목으로는 SK케미칼 '기넥신'과 유유 '타나민'을 꼽을 수 있다. 현재 지난해 5월부터 시작된 은행잎제제에 대한 급여제한의 여파로 처방비중이 높았던 두 제품은 매출 감소에 따른 OTC 약국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SK케미칼 '기넥신'

자체 기술로 개발… 1위 브랜드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대표 혈액순환개선제인 SK케미칼 '기넥신'은 1992년 SK 생명과학연구소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은행잎 추출물 100%로 만든 혈액순환개선제다. 기넥신은 500억대의 매출 규모를 가지고 있는 판매 1위 제품이다.

기넥신의 이 같은 브랜드 파워는 해외에서도 인정받아 미국, EU, 사우디, 터키 등으로도 국내의 브랜드 명 그대로 진출해 글로벌 혈액순환개선제로의 발돋움을 하고 있다.

기넥신F는 은행잎을 의미하는 ginkgo의 'gin'에 항생치료물질을 의미하는 phytoalexin의 'exin'의 합성어로 '은행잎치료제'라는 의미와 함께 '약효가 길다'는 의미의 '긴액션(기넥신)'이란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F는 강하다는 의미의 'forte'의 약어이다.

"혈액순환 개선·세포 보호 효과"

기넥신은 혈소판응집억제효과를 통해 혈액의 점도를 낮추고 혈관확장효과와 항산화효과를 통해 혈액의 흐름을 개선시켜 피를 맑게 하고 혈관을 넓혀 혈액이 잘 흐르도록 해준다.

또한 은행잎의 항산화제 작용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 뇌세포 및 신경세포를 보호해 뇌의 주요한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준다.

기넥신은 혈액순환 개선 및 세포 보호 효과 등 두 가지 측면에서의 약리작용으로 혈관성 및 알츠하이머 성 치매에서의 인식능 저하, 뇌 혈류 부전으로 생기는 두통, 이명, 현기증, 현훈, 단기 기억 상실, 우울증 등의 치료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100% 푸른 은행잎을 원료로 해 약리 성분만을 추출해 안전성을 갖춰 장기간의 투여가 필요한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 환자군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유유제약 '타나민'

세계적인 명성 ‘타나민’

기넥신과 함께 혈액순환개선제의 양대산맥으로 불리는 유유제약의 ‘타나민’은 생약분야에 대한 독보적인 노하우로 130년 동안 유럽전역에서 생약기술의 메카로 평가 받아온 독일 슈바베에서 개발한 제품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갖고 있다.

‘타나민’은 독일 슈바베의 특허 추출성분인 EGb761로 만든 뇌 및 말초순환개선제로 치매성 증상과 기억력 감퇴, 집중력장애, 어지러움, 귀울림, 말초동맥 순환장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타나민’은 이미 독일, 프랑스 등 6-8년간 지속적으로 유럽에서는 의약품 판매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고 연간 판매량이 1억 2천만정을 돌파했다. 국내에는 1993년 판매를 시작해 지금까지 의사 처방으로 많은 소비자에게 사랑을 받아 왔다.

“1,000편의 임상논문, 안전성 입증”

타나민은 27단계의 특허추출공정을 거쳐 57종의 성분에 대한 약리기전을 규명해 유해물질 26종을 제거하고 31종의 약효성분만으로 구성된 세계적으로 표준화시킨 특허추출물이다.

WHO Monograph(1999)에서는 타나민을 임상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연구되어 입증된 제제로 명기한 바도 있다. 타나민은 1,000편의 수많은 국내외 임상논문을 갖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세계적으로 유명한 임상 논문집인 JAMA(Journal of the America Medical Association/1997년)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 및 혈관성 치매에서의 타나민의 임상을 게재해 그 효능을 소개하고 있다.

"이제는 약국에서 만나요"

유유제약은 최근 타나민의 약국용 120밀리 제품을 출시해 활발한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그동안 주로 병원에서 환자 치료용으로 처방되었던 타나민이 일반 약국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시작한 것은 주목할 만 하다. 이는 지난해 급여제한 조치가 내려지면서 처방 감소에 따른 자구책인 것이다.

유유 관계자는 "그동안 전문의들에게 사랑 받으며 성장을 해오다가 이제 소비자들에게 직접 다가갈 계획”이라며 “제품의 특성을 살려 컬러 코드를 그린으로 한 약국용 타나민 120밀리 OTC 마케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