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한방제제 매뉴얼 <90>
여신산
최선례 기자 best_su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00-05-29 14:54   
여신산 (천전가방)

조성: 목향1 빈낭2 향부자3 천궁3 당귀3 계지2 정향1 황련1 황금2 인삼2 백출3 감초1

효능: 이기조혈*·산울건비*

주치: 기혈부조·간울화열*

*이기조혈:온건하게 기혈의 부조를 정리하는 치법이다.
*산울건비: 간울을 발산시켜 간의 소설기능을 조절하고 비의 운화기능을 조절하는 치법이다.
*간울화열;간의 소설기능이 실조하여 간기가 울결하여 화열한 증상을 말한다.

해설
본방제는 일본의 천전가방에 속하고 별명은 [안영탕](안=혈)이라고 하고 여성의 혈의 길로 사용되는 전문처방이므로 [안신산]으로 이름지었다.

적응증상

▷현기증·피가 머리로 올라오는 증상- 간기가 울결하여 열로 변하고 간열이 상충하여 청양의 부(뇌)를 착란하는 것에 의해 나타난다. 비기가 부족하면 혈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혈허가 되고 혈허는 현기증을 더욱 악화한다.

▷불안감-간의 소설기능이 실조하여 생기는 간기울결 증상이다.

▷생리불순·생리통-간기의 울체와 혈부족은 월경이상을 일으킨다.

▷식욕부진-비기의 운화기능의 감퇴에 의한 증상이다.

▷설홍-간울화열을 나타내는 설상이다.

▷맥세수-혈허를 나타내는 세맥과 체내의 울열을 나타내는 수맥이 보인다.

처방분석

목향, 빈낭, 향부자-이기해울
천궁, 당귀-양혈활혈
계지-온경통맥
정향-강역온중
황령, 황금-청열산울
인삼, 백출, 감초-건비익기

본방은 온약과 凉약이 있어 이기·활혈·양혈·舒肝·산울·건비 등 각작용을 갖춘 방제이다.

원방에는 대황이 1g배합되어 있어서 변비가 없을 때에도 빼도 된다. 목향, 빈낭, 향부자는 이기제이다. 목향은 비위의 기체에 그리고 향부자는 간의 기체에 작용하고 병용되는 일이 많다.

향부자는 또한 활혈작용에 의해 생리통을 멈추고 천궁, 당귀 등의 혈분제를 보좌한다. 빈낭은 이기작용이 강하고 중성에 의해 상역한 기를 하강시켜 기체를 치료한다. 천궁, 당귀는 혈분제이다.

천궁의 활혈작용, 당귀의 양혈작용은 부인과질환에 병용되는 경우가많다. 계지는 온성으로 혈행불暢의 경맥을 통하게 한다. 정향은 강역제로서 상승한 기를 하강시킨다. 황련, 황금은 청열작용에 의해 특히 상부의 울열을 맑게 한다.

또 황련은 심으로 귀경하여 심열을 맑게 하고 불안감, 피가머리로 올라가는 것 등의 증상을 신속하게 제압한다. 인삼, 백출, 감초는 건비익기제로 부족되어 있는 비기를 보호, 기혈을 생성한다.

임상응용

▷갱년기증후군-갱년기의 현기증, 불안감, 생리불순 등에 사용한다. 갱년기는 기혈부조의 상태에 빠지기 쉽고 이 시기는 강한 보익제보다도 기혈을 조절하는 본처방이 적용된다.
요통 등(신허)에 +[육미지황환](자음보신)

▷생리불순·생리통-부인과의 기본방제로서 제증상에 사용된다. 각측면에서 기혈을 조화하면서 한증상(냉증 등)과 열증상을 치료할 수 있어서 변증이 어려운 부인과 비증에 사용된다.
지통작용은 약하므로 생리통이 심할 때 +[작약감초탕](완급지통)
또는 +[사역산](소간이기)

▷울병-이기제에 의해 간의 소설을 도모하고 양혈제에 의해 심신을 자양하여 청열제에 의해 간화의 열을 억제할 수 있고, 불안감, 불면 등의 울증상에 사용된다. 임상에서는 자율신경실조증에도 사용되고 여성만이 아니라 남성의 신경증상의 조절에도 사용할 수 있다.
소간작용을 증강할 때 +[加味逍遙散] (소간건비·청열활혈)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