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산업이 정부 지원과 글로벌 인프라 협력에 힘입어 새로운 도약기를 맞았다. 지난 5일에는 보건복지부가 ‘K-AI 신약개발 R&D 사업 본격화’ 발표하며 국내 AI 신약개발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신테카바이오는 자체 AI 슈퍼컴퓨팅(ABS) 센터를 구글 GPU 및 쿠버네티스 엔진과 연동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해 AI 신약개발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또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임상 4건을 동시 진행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개발 성과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AI 신약개발 산업이 지금까지 ‘기술 도입 및 플랫폼 구축’ 단계에 머물렀다면 정책 지원과 인프라 혁신, 임상 파이프라인 확보 등을 통해 상업화 성과를 창출하는 단계로 패러다임이 전환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향후 AI 신약개발 산업은 파이프라인을 임상 단계로 빠르게 진입시켜 성공 가능성을 증명하는 선의 경쟁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AI 신약개발 기업 첫 상용화 성공 발표 기대감↑
국내 주요 AI 신약 개발 기업인 파로스아이바이오, 신테카바이오, 온코크로스 등은 자체 AI 플랫폼 기술과 전문성, 우수한 파이프라인을 토대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키워 나가고 있다.
특히,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AI 신약개발 플랫폼(ChemiverseⓇ)’을 통해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까지 통합 수행하며 업계에서 유일하게 임상 총 4건을 동시 진행하고 있다. 또 ‘케미버스’를 활용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임상 파이프라인을 보유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입증하고 있어 앞으로 ‘AI 신약개발 상용화 1호’의 강력한 선두주자로 주목받고 있다.
파로스아이바이오의 대표 파이프라인인 ‘PHI-101’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로 글로벌 임상 1상 CSR(임상시험결과보고서)를 성공적으로 확보하고 글로벌 2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또 ‘PHI-101’은 표적항암제 치료제가 부족한 재발성 난소암으로도 적응증을 확장하고 있다. AML 치료제 타깃 시장 규모가 2028년 약 1.1조 원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적응증 확장까지 완료되면 목표 시장 규모는 약 10조 원까지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급성 골수성 백혈병 핵심 환자군을 겨냥한 차세대 메닌 저해제도 개발에 착수하고 있어 글로벌 AML 치료제 시장에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 다른 파이프라인 ‘PHI-501’은 난치성 고형암 치료제로 국내 임상 1상 진입이 가시화됐으며, 최근 이를 위한 연구자 모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또 ‘케미버스’ 적응증 확장 모듈 ‘딥리콤(DeepRECOM)’을 통해 난치성 대장암, 악성 흑색종, 비소세포암 등 여러 고형암으로 적응증을 확장 개발하고 있다.
남기엽 파로스아이바이오 신약개발총괄사장은 “파로스아이바이오는 뛰어난 기술력과 파이프라인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업계에서 유일하게 4건의 임상 개발을 동시 진행하고 있다”며 “AI 신약 개발 시장 첫 상용화 사례를 선보일 수 있도록 연구개발 전 과정에서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도 온코크로스는 AI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탐색과 적응증 확장을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다. 근감소증 치료제 ‘OC514’(글로벌 임상 1상 완료), 동화약품과 공동개발 중인 항암제 ‘ODP2301’(국내 임상 1상 준비 중), 췌장암 치료제 ‘OC212e’(연구자 주도 임상 진행 중) 등 파이프라인이 있다. 최근 유니스트, 순천향대 천안병원 암센터와 공동연구를 통해 간암 조기 진단 기술도 개발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신테카바이오는 자체적으로 발굴한 후보물질로 신약개발에 나서는 것과 동시에 AI 신약개발 플랫폼 '딥매처'를 통해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신약 후보물질 개발을 다방면으로 협력하고 있다.
| 01 | 한국파마, 철 결핍증 치료제 ‘아크루퍼캡슐’... |
| 02 | 경보제약, 산업부 ‘AI 기반 의약품제조 자율... |
| 03 | 에이프로젠,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임상전략 ... |
| 04 | 루닛, 볼파라와 '브랜드 대통합'… 암 정복 '... |
| 05 | 식약처, 글루타치온 주사제 등 전문의약품 ... |
| 06 | AI 신약 개발 훈풍 분다…기술·임상 성과 보... |
| 07 | 툴젠, 아비노젠에 CRISPR-Cas9 기술이전 계... |
| 08 | 리가켐바이오,'LNCB74' 미국 임상 1상 고용... |
| 09 | 한미,세계 첫 ‘근육 증가’ 혁신 비만신약,미... |
| 10 | 셀트리온, ‘월드 ADC’서 신약 후보 성과 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