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가열차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광역시약사회와 경상북도약사회가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모든 일본 의약품과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에 나설 것임을 선언했다.
두 약사회는 2일 공동 명의 성명서를 내고 " 일본 경제산업성은 3개 품목 수출 규제 강화를 발표하면서 양국 간 신뢰 관계가 훼손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해 우리나라 대법원의 강제 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임을 스스로 인정했다"며 " 이는 G20 정상회담 의장국으로서 자유 무역 중요성을 강조한 일본 아베 총리가 스스로 자신의 말을 뒤집는 이율배반적인 조처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 일본 내 여론조차 비판과 우려를 내놓고 있음에도 아베 정부는 여전히 후안무치로 일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경제 동맥인 반도체 산업을 고사시켜서 군국주의 부활 기반으로 삼으려는 한심한 작태를 보이고 있다"며 " 아베 정부는 지금이라도 경제 보복 조치를 철회하고 과거사를 반성하며 진정성 있는 사과를 통해 강제 동원 피해자들이 인권과 존엄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 이런 역사적 당위에 반하여 아베 정부가 계속해서 반인도적인 범죄인 강제 동원에 대한 우리나라 대법원의 배상 판결에 대해 경제 보복 조치를 강행한다면 대구광역시 약사회원들은 그 실상과 내용을 국민들께 홍보하는 동시에 모든 일본 의약품과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에 나설 것을"이라고 천명했다.
두 약사회는 " 우리가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나서는 것은 대한민국 국민 본분을 실천하는 길이며, 나아가 일본 전범 기업과 극우 정권에 대해 정치·경제적 압박을 가하는 애국의 길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또 아베 정부의 무지한 행동을 깨우쳐 주는 일임과 동시에 발전적인 한일 관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전 국민의 뜻을 받드는 일이라는 점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 우리 대구경북약사회는 일본 정부의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해 모든 회원 약국에서 일본 의약품에 대한 판매를 중지하고, 제조회사가 일본 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인 경우 판매를 자제할 것을 거듭 밝힌다. 아울러, 일본이 경제 보복 조치를 철회해 한일 양국이 보다 우호적인 관계를 회복하기를 바란다는 점도 널리 알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