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근 의약품 등 주요상품에 추적시스템을 전국적으로 구축하는 가운데, 수입품도 포함돼 우리나라 기업에서도 주의를 기울여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는 최근 KITA 마케팅 리포트 '중국의 상품추적시스템 구축 현황(베이징지부 인턴 유진주)'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상품 품질 보장과 소비자 안전 도모를 위해 상품추적 시스템을 구축중으로, 앞으로는 전국적으로 통합·구축할 계획이다.
2008년 멜라민 분유 사태와 지난해 7월 발생한 장춘·우한 지역의 불량백신 사건 등을 겪은 후 중국 소비자들이 자국 제품에 대해 불신하고 맹목적으로 수입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나 정부가 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중국 상무부 주요상품 추적시스템 구축 추진 지도의견을 보면(2017년), 의약은 중약재 유통추적관리 중앙 플랫폼을 업그레이드하고, 서로 다른 의약품 추적시스템 간 정보공유를 촉진하도록 했다.
또 모든 의약품의 생산, 유통, 사용 전반에 대한 추적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상품추적시스템은 위조품 방지 및 상품품질 보장을 위해 QR코드 스캔을 통해 상품의 생산-출고-유통-구매 등 전반적인 과정을 추적하는 플랫폼으로, 상무부 주관 민생사업이다.
현재까지는 의약품, 농산품, 식품, 농자재, 특수설비, 위험물품, 희토류 제품 등 7대 분야 상품이 주요 대상이나 점차 추적 대상품목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국 자국산 상품은 물론 수입 상품도 추적시스템에 포함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상무부는 육류·채소, 중약재 및 주류 등 3개 분야 시범지역 카테고리를 설치해 2010년부터 58개 도시에서 육류·채소 유통 추적, 2012년부터 18개 성과 시에서 중약재 추적, 4개 성에서 주류 추적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한 상무부·재정부는 2016년 7월부터 산동, 상하이, 닝샤, 샤먼 등 시범운영지역에서 식품, 의약품 등 분야에서 상품추적시스템 구축 사업을 개시했고, 2020년부터는 전국적으로 상품추적시스템을 구축·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8월 10일부터는 현재 운영중인 국가주요상품추적시스템 도메인 (http://www.zyczs.gov.cn/) 사용을 중단하고, 새로운 도메인(zycpzs.mofcom.gov.cn)으로 변경된다.
또한 최근 중국 정부기관 및 기업이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 정보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추적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는데, 중치팡웨이(www.fangweibiao.org, 바이오의약품), CCN중상(http://ccn.yesno.com.cn), 치쉬엔&요툰(www.youtun.com.cm, 의료), 마샹팡신(www. mashangfangxin.com, 의약품) 등이 있다.
리포트는 "아직까지 구체적 정책이 미비하고 소비자와 기업 인식이 부족하지만, 중국 정부 추진 의지가 강하고 수출입 분야에도 적용 가능성이 높아 소비재를 중국에 유통하려는 한국 기업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상품추적정보를 활용하면 기업은 맞춤형 마케팅이 가능해지고 소비자 신뢰를 얻을 수 있으며, 소비자는 위조 상품과 품질 저하 위험으로부터 안전해질 수 있다"면서 "향후 시스템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제고될 경우 대형 마트나 단체기관이 추적 가능 상품을 우선으로 구입하는 등 상품추적시스템 적용 상품의 판매가 유리해질 수도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