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갑 경고그림, 면적 더 키우고 새 그림 개발해야"
복지부 담배유해성 최신 연구결과 발표…규제 강화 제시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11-29 13:36   수정 2017.11.29 13:39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오는 30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담뱃갑 경고그림 시행 1주년 기념 담배규제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담뱃갑 경고그림 시행 1년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국내 금연정책의 현황을 점검하고, 캡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들에 대한 최신의 대응전략도 함께 논의한다.  

이날 첫 번째 세션에서는 우리나라 담배규제정책의 현황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조성일 교수는 담배로 인한 질병사망자 발생곡선을 소개하면서, 담배 질병의 종결(Tobacco endgame)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전략 아래 가격․비가격정책의 포괄적 추진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커스틴 쇼트 박사(Dr. Kerstin Schotte)는 올해 7월에 발표된 제6차 세계금연실태보고서(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를 바탕으로 한국의 MPOWER 정책 이행 현황을 평가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경고그림 제도 시행 성과와 함께 최근 해외에서 도입 중인 보다 강력한 담뱃갑 포장 규제 전략에 대해 다룬다.

이성규 박사는 경고그림 정책의 효과 강화를 위해 단기와 중장기 목표를 구분해 제안한다. 단기 목표로는 경고그림 면적 확대, 효과가 낮은 그림 교체, 궐련 외 다른 담배제품에 대한 효과적인 그림 개발을 제시한다.

중장기 목표로는 호주, 영국, 프랑스 등과 같이 담뱃갑 디자인 규격과 색상을 일원화 하는 '규격화 무광고 포장(Plain packaging)' 도입을 준비해야한다고 강조한다.

프라킷 밧테사통킷(Prakit Vathesatogkit) 교수는 세계 최초로 담뱃갑 면적의 85% 크기로 경고그림을 확대한 태국의 사례를 소개하며, 실제 담배회사가 경고그림 크기 확대를 막기 위해 다양한 방해전략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히고,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오후 세션에서는 가향·캡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들에 대한 최신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정책 강화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김희진 교수는 국내에서의 가향담배 흡연유인 효과 입증 연구를 바탕으로, 담배제품에 가향물질 첨가 금지를 권고한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의 적극적 이행을 주장한다.  

오렐리 베르뎃(Aurelie Berthet) 박사는 지난 5월 미국의학협회지  내과학(JAMA Internal Medicine)에 발표한 스위스 베른대의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를 소개하면서, 궐련형 전자담배에서도 니코틴과 일산화탄소 등 일반 궐련에서 검출되는 유해성분이 확인되었음을 밝히고, '덜 해로운 담배"를 내세운 담배회사 주장을 반박한다. 

타카히로 타부치(Takahiro Tabuchi) 박사는 세계 최초로 궐련형 전자담배가 시판된 일본의 현재 상황을 분석한다.

또 간접흡연에 따른 눈·목 통증 등 신체적 증상 피해에 대한 연구조사 결과를 통해 이들 담배제품에 대한 선제적이고 포괄적인 규제 조치가 이뤄져야 함을 강조한다. 

선필호 부연구위원은 2017년 담배광고 및 판촉 모니터링 주요 결과를 발표하고, 판매점 내 담배광고와 규제 사각지대에 위치한 담배 판매촉진 행위에 대한 규제강화 필요성에 대해 발표한다.

복지부 임숙영 건강증진과장은 "이번 정책포럼은 신종담배 등 위협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담배규제 현안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정책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향후의 금연정책 수립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