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4차산업혁명위 보건산업 특위 건의중
당연직 위원 배제 대안…"제약바이오 산업 적극 논의돼야"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10-31 06:00   수정 2017.10.31 06:50
복지부가 4차산업혁명위원회 참여를 위해 보건산업 특위 제안을 진행한다.

31일 보건복지부 관계자에 따르면, 복지부는 현재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 보건산업 특별위원회를 설치 건의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8월 활동을 시작한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당초 당초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구성안에서 위원장을 국무총리급으로 하고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정부, 국토부, 보건복지부 등 대다수의 부처가 참여하도록 구성키로 계획했으나, 위원장이 장관직으로 축소되고 민간전문가 위원 참여 목소리를 반영해 일부 조정이 이뤄졌다.

이에 따라 정부 측 당연직 위원에는 문미옥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이 간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장차관이 참여하게 됐다.

당연직 위원에서 보건복지부가 배제되면서 보건의약계에서는 창구역할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는데, 복지부의 움직임은 이 같은 여론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관계자는 "민간참여가 좀더 많아져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은 일견 합리적일수 있다"면서도 "제약바이오 등 보건산업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가장 파급력 있는 융합이 예상되는 분야로,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도 적극 논의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제약바이오산업이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돼 있고, 4차산업위원회 내부 위원중 (제약바이오분야 관련) 학계 인사 2명이 포함돼 있는 등 좀더 지켜보며 참여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복지부는 최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의 4차산업혁명위원회 보건산업 분과 설치 필요성에 관한 질의에 대해서도 이 같이 답변한 바 있다.

당초 분과 형식으로 건의를 준비중이었으나, 4차산업혁명위에서는 분과가 아닌 특위 (기능은 분과와 동일) 형태로 추진되고 있어 '보건산업 특위' 설치로 명칭을 바꿔 진행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