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타그리소’(오시머티닙)이 현재 표준요법제로 사용되고 있는 백금착체 항암제를 대체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한층 무게가 실릴 수 있을 전망이다.
아스트라제네카社는 ‘타그리소’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T790M 변이 양성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표준요법제 2차 선택약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임을 뒷받침하는 임상 3상 ‘QURA3 시험’ 결과가 발표됐다고 6일 공개했다.
‘타그리소’를 2차 선택약으로 복용토록 했을 때 백금착체 기반 이중 복합제를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무진행 생존기간이 5.7개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을 정도라는 것.
이 같은 내용이 수록된 보고서는 4~7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고 있는 제 17차 국제 폐암 학술회의(WCLC)에서 공개되었을 뿐 아니라 6일 의학저널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아스트라제네카측은 설명했다.
보고서의 제목은 ‘EGFR T790M 양성 폐암환자들에게 나타낸 오시머티닙 또는 백금착체 기반 페메트렉시드의 효능 비교’이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션 보헨 글로벌 신약개발 담당부회장 겸 최고 의학책임자는 “이번 임상 3상 시험결과를 보면 ‘타그리소’가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를 사용한 후에도 증상이 진행된 환자들에게 기존의 표준요법제를 대체할 약물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고 말했다.
더욱이 폐암이 가장 빈도높게 뇌로 전이되는 유형의 암으로 손꼽히고 있는 현실에서 중추신경계로 전이되어 예후가 매우 좋지 않은 환자들에게 ‘타그리소’가 효과를 나타냈음을 입증한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AURA3 시험’ 결과를 보면 ‘타그리소’는 무진행 생존기간이 10.1개월에 달해 현재 표준요법제로 사용되고 있는 백금착체 기반 이중 복합요법을 진행한 그룹의 4.4개월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하게 향상되었음이 눈에 띄었다.
또한 중추신경계로 전이가 나타난 34%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무진행 생존기간을 비교해 보면 ‘타그리소’ 복용群은 8.5개월로 나타나 백금착체 기반 이중 복합요법을 진행한 그룹의 4.2개월을 크게 상회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텍사스대학 M.D. 앤더슨 암센터의 바실리키 A. 파파디미트라코풀루 박사는 “이번에 도출된 ‘AURA3 시험’ 결과를 보면 통계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상적으로도 유의할 만해 보인다”고 단언했다.
‘타그리소’와 같은 표적약물이 현재 표준요법제로 사용 중인 백금착체 기반 ‘알림타’(페메트렉시드) 요법에 비해 무진행 생존기간 연장에 괄목할 만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이 입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홍콩대학 의대의 토니 목 교수 또한 “무진행 생존기간 연장과 반응률 향상 측면에서 백금착체 기반 ‘알림타’ 요법에 비해 ‘타그리소’가 우위를 입증한 것은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낸 환자들을 위한 표준요법제에 자리변동이 뒤따를 수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며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타그리소’는 신속심사 대상으로 지정을 거쳐 지난해 11월 전이성 EGFR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로 FDA의 허가를 취득한 바 있다.
FDA는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로 치료를 진행 중 또는 진행한 후에도 증상이 진행된 환자들에 대한 검사를 거쳐 ‘타그리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었다.
유럽의 경우 ‘타그리소’는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의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성인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EGFR T790M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에게 사용하는 항암제로 올해 2월 조건부 허가를 취득했다.
뒤이어 3월에는 일본에서도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낸 EGFR T790M 변이 양성 수술불가형 또는 재발성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로 허가를 취득했으며, 중국의 경우 ‘패스트 트랙’ 심사대상으로 지정되어 최종승인을 취득하기 위한 통과절차가 진행 중인 상태이다.
중국은 EGFR 변이를 나타내는 폐암 환자들이 전체 폐암 환자의 절반에 육박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01 | 대한약사회, 동아대병원 부지 내 약국 개설 ... |
02 | 미국·중국 지정학적 긴장 고조..글로벌 제약... |
03 | 카스큐어테라퓨틱스,유전자가위 기술로 '병... |
04 | 한미약품, 세계 첫 ‘근육 증가’ 비만신약 임... |
05 | 인트론바이오, 대장암 모델 독소제어 실증시... |
06 |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미국 분기 매출... |
07 | 아미코젠,'키토올리고당' 소재 폐질환 개선... |
08 | 무신사 '소담상회', 누적 판매액 30억원 돌파 |
09 | 올리브영, KCON LA에 역대 최대 규모 K-뷰티... |
10 | 대웅제약, 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와 디지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