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의약품 가격 차이에만 집중 다른 의도 있나?'
약국가 '반발' … 포장단위 틀린 잘못된 자료로 확대해석 지적
임채규 기자 lim82@naver.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5-03-20 12:28   수정 2015.03.20 13:30
일반의약품 가격조사와 관련한 약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용량이나 포장단위의 차이를 확대해석해 의도적으로 약값 차이가 많이 나는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18일 복지부가 일반의약품 가격조사 결과를 공개한 이후 최대 가격차가 '3.5배'에 달한다는 내용이 앞다퉈 다뤄졌다.

특히 예시로 나온 관절염 패치의 경우 포장단위가 달라 발생한 가격차이를 그대로 반영해 약국 판매가격을 잘못 전달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판매가격이 3.5배 차이가 난다는 관절염 패치인 '트라스트 패취'는 포장단위가 3매와 7매가 따로 있다. 판매가격이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이유가 포장단위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 때문이라는게 약국과 약사들의 말이다.

반발이 커진 이유는 이러한 내용을 제대로 확인하는 절차 없이 가격차에만 초점을 맞춘 내용 때문이다. 잘못된 조사에서 나온 가격차에만 집중했다는 것이다.

한 약사회원은 먼저 지적된 '트라스트'를 비롯해 몇개 제품이 용량이 다른 제품의 판매가격을 비교한 것 같다는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최대 가격차만 부각시켜 소비자나 환자의 반응을 부추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혹시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안전상비의약품 확대를 위한 사전 포석을 배경에 깔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또다른 약사회원은 '편의점 확대 운운은 재벌에게 약국시장을 넘겨 주기 위한 명분 만들기 쇼에 불과하다'면서 '하려면 약국과 편의점의 약값을 비교해야지, 편의점 약값은 중앙에서 통제하면서 약국 약값 조정은 공정거래에 위배된다는 주장도 한마디로 쇼'라고 지적했다.

한편 일반의약품 가격조사를 폐지하자는 요구도 나왔다.

약사회는 최근 공식자료를 통해 일반의약품 가격조사제도 자체를 폐지하자고 강조했다. 매년 일반의약품 가격조사 결과 발표 이후 반복되는 가격조사 오류가 약국과 약사의 위상을 추락시키는 계기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