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원료수입 의약품 증가…방사능 오염가능성 높아
김미희 의원, 의약품 원료 원산시 표시 제도 시행 촉구
김용주 기자 yj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3-10-18 09:46   수정 2013.10.18 15:21

후쿠시마 원전사고에도 불구하고 일본으로 수입하는 의약품 원료 수입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미희 의원(통합진보당)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본산 원료의약품 수입액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08년에는 2억 9,915만달러, 2009년애는 2억 9,881만달러, 2010년에는 4억 2,689만달러, 2011년에는 4억 2,341만달러, 2012년에는 4억 4,913만달러로 집계됐다는 것.

이는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일어난 뒤 수산물, 식품 등의 일본산 먹거리 수입에 규제가 강화되고 소비자에게 외면받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의외의 현상이라는 것.

김미희 의원은 "일본산 원료의약품은 국내 제약회사에서 사용하더라도 현행 제도상 표기할 의무가 없으므로 국민들은 자신들이 복용하는 약에 방사능 오염가능성이 있는 일본산 원료가 들어가더라도 모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미희 의원은 "수입한 원료의약품중 대부분은 합성된 원료이고, 방사능 오염도가 높으면 합성이 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약학전문가들의 말에 따르면 오염도가 치명적이지 않아도 합성이 되는 경우가 많아 합성원료도 방사능 오염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며 "또 부형제로 들어가는 탈크나 녹말가루같은 것도 방사능 오염가능성이 충분히 높다"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김미희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원전사고 주변 수산물 수입금지, 방사능 검사 강화 등의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고 있으나 의약품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이다"며 "의약품 원료 원산지 표시 시행도 시급하지만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일본산 의약품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