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총 생존기간이 4년 가까이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스트라제네카社가 임상 3상 ‘FLAURA2 시험’에서 도출된 항암제 ‘타그리소’(오시머티닙)의 긍정적인 총 생존기간 최종 분석결과를 7일 공개했다.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EGFRm) 비소세포 폐암(NSCLC)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1차 약제로 ‘타그리소’와 ‘알림타’(페메트렉시드), 백금착제 기반 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을 진행한 피험자 그룹에서 ‘타그리소’ 단독요법을 행한 대조그룹에 비해 평균 총 생존기간이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데다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평균 총 생존기간은 이 시험의 핵심적인 이차적 시험목표였다.
시험결과는 6~9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국제 폐암연구협회(IASLC)의 주최로 개최된 2025년 폐암 월드 컨퍼런스 프레시덴셜 심포지엄에서 7일 발표됐다.
총 생존기간 최종분석 결과를 보면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를 병용한 그룹의 평균 총 생존기간이 4년에 육박하는 47.5개월로 집계되어 ‘타그리소’ 단독요법을 행한 대조그룹에서 약 3년(37.6개월)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우위가 입증됐다.
이와 함께 데이터 성숙도(data maturity)가 57%에 달한 시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을 진행한 피험자 그룹은 ’타그리소‘ 단독요법을 행한 대조그룹에 비해 사망 위험성이 23%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을 진행한 피험자 그룹은 3년차에 63.1%가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년차 시점에서 생존한 피험자들의 비율을 보면 49.1%로 집계되어 ‘타그리소’ 단독요법 대조그룹의 50.8% 및 40.8%를 상회했다.
게다가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을 진행한 피험자 그룹에서 관찰된 총 생존기간 개선효과는 사전에 정한 전체 피험자 하위그룹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시험을 총괄한 연구자로 프랑스 파리 인근도시 빌쥐프에 소재한 구스타브 루시 암연구소에 재직 중인 흉부종양학 전문가 다비드 플랑샤르 박사는 “폐암 치료의 근본적인 목표가 생존기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환자들의 삶의 질을 보존하는 데 있다”면서 “이번에 공개된 시험결과를 보면 전례없는 평균 총 생존기간 연장효능이 입증되면서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를 병용하는 요법이 목표 도달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데다 항암화학요법제를 병용하거나 병용하지 않은 가운데 ‘타그리소’를 사용하는 요법이 진행성 EGFR 변이 폐암 환자들을 위한 1차 약제 표준요법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에 무게를 싣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사들이 개별환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 줄 보다 나은 맞춤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환자들에게서 최대의 효과를 이끌어 내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수잔 갤브레이스 항암제‧혈액암 연구‧개발 담당부회장은 “임상 3상 ‘FLAURA2 시험’에서 도출된 최신결과가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를 병용하는 요법이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생존기간 연장 표준요법제가 될 수 있을 것임을 뒷받침하는 것”이라면서 “진행성 EGFR 변이 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1차 약제로 사용했을 때 평균 총 생존기간이 4년 가까이 연장된 것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FLAURA 시험’에서 도출된 3년을 상회하는 수준의 것이라고 갤브레이스 부회장은 설명했다.
지난 10년 동안 ‘타그리소’가 전체 비소세포 폐암 치료단계에 걸쳐 일관되게 강력한 생존기간 연장 유익성과 감내할 수 있는 안전성을 내보인 것으로 입증되면서 EGFR 변이 폐암 치료를 위한 근간요법제로서의 역할에 한층 더 무게를 싣게 한다고 갤브레이스 부회장은 단언했다.
한편 장기 추적조사에서 나타난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의 안전성 프로필을 보면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의 것으로 나타난 데다 이미 견고하게 확립되어 있는 개별약물들의 프로필과 궤를 같이했다.
3급 이상 부작용이 수반된 비율을 보면 ‘타그리소’와 항암화학요법제를 병용한 피험자 그룹의 70%에서 보고되어 ‘타그리소’ 단독요법 대조그룹의 34%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국제 폐암연구협회(IASLC) 2023년 폐암 월드 컨퍼런스에서 공개된 분석결과를 보면 두 그룹에서 수반된 3급 이상 부작용이 각각 64%와 27%로 집계된 바 있다.
부작용이나 표적 독성으로 인해 약물투여를 중단한 비율을 두 그룹에서 각각 12%와 7%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01 | 서울에 모인 한·중 제약바이오 리더들…"전략... |
02 | "유전체데이터 혁신 앞장" NDS, 'AWS 퍼블릭... |
03 | 디티앤씨알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 |
04 | 해외 의약품 제조소, 미국 FDA ‘기습 불시 ... |
05 | 아리바이오, 저주파 음향진동 전자약 기술 S... |
06 | 케어젠, 튀르키예 ‘아타바이’ 와 펩타이드 ... |
07 |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 |
08 | UNICEF “전세계 비만아동 최초 저체중아 추월” |
09 | 헐리우드와 빅파마 만남…줄리안 무어-릴리 ... |
10 | MoCRA 제대로 모르면 낭패, 선케어 미국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