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사프넬로’ 임상 3상서 관해(寬解) 목표도달
4년 진행 ‘TULIP 시험’ 분석결과..입원건수ㆍ사망률 등 ↓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1-09 06:00   수정 2023.11.09 06:01

아스트라제네카社는 자사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치료제 ‘사프넬로’(Saphnelo: 아니프롤루맙-fnia)와 관련, 4년에 걸쳐 진행되었던 임상 3상 ‘TULIP 시험’ 프로그램의 사후(事後)분석에서 도출된 괄목할 만한 관해(寬解) 목표도달 자료를 7일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자료는 루푸스 환자들에게서 관해가 체내 기관 손상이나 증상 돌발횟수, 입원건수, 사망률 등의 감소 뿐 아니라 환자들의 건강 관련 삶의 개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상기할 때 주목할 만한 것이다.

‘사프넬로’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들을 위한 동종계열 최초 생물의약품의 일종이다.

이처럼 괄목할 만한 자료는 10~15일 미국 캘리포니아州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미국 류머티스학회(ACR)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전신선 홍반성 루푸스는 중증을 나타내는 데다 복잡한 자가면역성 질환의 일종으로 체내의 각종 기관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환자들의 경우 증상을 충분하게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형편이다.

이날 공개된 자료의 제 1저자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류머티스센터의 로날드 판 폴렌호번 류머티스내과 과장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치료제 분야에서 이루어진 진전에도 불구하고 관해 단계에 도달하는 환자 수가 여전히 적은 편인 가운데 증상의 활성도가 현재 사용 중인 표준요법제들을 사용했을 때 충분하게 조절되지 못하는 경우가 잦은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런데 표준요법제와 비교했을 때 ‘사프넬로’를 사용해 증상을 치료한 환자들의 경우 증상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데가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량 또한 치료지침에서 제시된 상한선을 상회하지 않는 수준으로 감소했음이 눈에 띄었다고 폴렌호번 박사는 강조했다.

아스트라제네카社의 섀런 바아 의약품 연구‧개발 담당부회장은 “이번에 공개된 자료가 체내 기관계에 걸쳐 증상 활성도와 감소와 관련해서 ‘사프넬로’의 주목할 만한 임상 프로필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를 더욱 심화시켜 준 데다 환자들이 관해 단계에 도달해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량이 감소했고, 증상 조절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음이 눈에 띄었다”고 설명했다.

‘사프넬로’와 면역성 질환 포트폴리오를 통해 아스트라제네카는 최대한 많은 수의 환자들이 관해 단계에 도달하고 치료목표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변함없이 사세를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DORIS’(Definition of Remission in SLC) 기준을 적용했을 때 ‘관해’는 2개 척도에 의한 평가에서 체내 기관들에 걸쳐 증상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량이 1일 5mg 미만으로 나타났으면서 제한된 약물들을 사용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번 사후분석에서 ‘사프넬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환자들은 관해에 도달한 비율이 표준요법제를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괄목할 만하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됐다.

‘TULIP 시험’ 프로그램에서 4년이 경과한 시점(208주차)에 평가했을 때 ‘사프넬로’를 사용한 환자그룹의 관해 도달률이 33%에 달해 표준요법제 대조그룹의 21.4%를 적잖이 상회한 것으로 분석되었던 것.

이 같은 편차는 ‘TULIP 시험’ 프로그램에서 1년(52주차)이 지난 시점에서 평가했을 때 도출된 ‘사프넬로’ 사용 환자그룹의 18.7%와 표준요법제 대조그룹의 8.6%에 비해 더욱 간극이 확대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뿐 아니라 ‘사프넬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환자그룹은 시험기간의 17.2%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관해 상태를 유지해 표준요법제 대조그룹의 8.3%를 상회했다.

3회 이상 내원했을 때 관해 상태를 유지한 비율을 보더라도 ‘사프넬로’를 사용한 환자그룹은 30.2%에 이르러 표준요법제 대조그룹의 17.2%를 상당히 웃돌았다.

한마디로 ‘사프넬로’는 4년 동안 이루어진 플라시보 대조시험에서 이처럼 괄목할 만한 관해 자료가 도출된 첫 번째 생물의약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됐다.

한편 유럽 류머티스학회연대기구(EULAR)을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증상을 관리하고자 할 때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소량만 사용하도록 하는 권고案을 최근 제시한 바 있다.

그 대신 관해 상태 도달, 증상 활성도 및 증상 돌발횟수 감소, 신장 기능 유지 및 체내 기관손상 최소화 등을 위해 생물의약품을 조기에 사용토록 권고한 것이다.

한편 ‘TULIP 시험’ 프로그램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사프넬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환자그룹의 경우 다양한 체내 기관들에 걸쳐 증상의 활성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프넬로’를 장기간 동안 사용했을 때 신장 침범(involvement)이 나타난 환자 수가 적게 나타난 데다 신체적, 정신적 개선, 삶의 질 향상 등이 관찰되었다는 의미이다.

아울러 다발혈관염 동반 호산구성 육아종증(EGPA)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센라’(벤랄리주맙)와 직접적으로 비교평가한 최초의 시험례인 임상 3상 ‘MANDARA 시험’에서도 긍정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