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社(BMS)는 자사의 성인 증후성 뉴욕심장협회(NYHA) 2~3급 폐쇄성 비대성 심근병증(oHCM) 환자들의 기능 및 증상 개선제 ‘캄지오스’(Camzyos: 마바캄텐 2.5mg, 5mg, 10mg 및 15mg 캡슐제)가 FDA로부터 발매를 승인받았다고 28일 공표했다.
‘캄지오스’는 폐쇄성 비대성 심근병증의 기저 병태생리를 표적으로 작용해 심장 마이오신(myosin: 근육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알로스테릭 및 가역적 저해제로는 최초로 FDA의 허가를 취득했다.
‘캄지오스’의 처방정보에는 심부전 위험성에 유의토록 하는 돌출주의문(Boxed Warning)이 삽입되어야 한다.
또한 ‘캄지오스’는 좌심실 박출계수(LVEF)를 감소시키고, 심장수축 부전으로 인한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캄지오스’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하기 전과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심장 초음파검사를 진행해 좌심실 박출계수를 측정해야 한다.
좌심실 심박출계수 55% 미만의 환자들은 ‘캄지오스’를 사용한 약물치료가 권고되지 않는다.
내원했을 때 좌심실 박출계수가 50% 미만으로 나타나거나, 환자가 심부전 증상 또는 임상적 증상 악화를 나타낼 경우에는 ‘캄지오스’ 복용의 중단이 필요하다.
‘캄지오스’와 일부 시토크롬 P450 저해제를 병용하거나, 일부 시토크롬 P450 유도제의 사용을 중단하면 심장수축 부전으로 인한 심부전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중등도에서 고도 용량의 CYP2C19 저해제, 고도용량의 CYP3A4 저해제, 중등도에서 고도 용량의 CYP2C19 유도제 또는 중등도에서 고도 용량의 CYP3A4 유도제 등과 ‘캄지오스’의 병용은 금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심장수축 부전으로 인한 심부전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캄지오스’는 위험성 평가‧완화전략(REMS)이 적용된 가운데 제한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되어야 한다.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社의 사미트 히라와트 글로벌 신약개발 담당부회장 겸 최고 의학책임자는 “이번에 ‘캄지오스’가 허가를 취득한 것은 우리가 심혈관계 치료제 분야에서 수 십년 동안 구축해 온 리더십의 기반 위에서 이루어진 개가이자 심혈관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지속적으로 사세를 집중해 왔음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우리는 동종계열 최초의 신약을 환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면서 미국에서 증후성 NYHA 2~3급 폐쇄성 비대성 심근병증 치료와 관련해 존재하는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에 부응하는 데 일조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캄지오스’는 임상 3상 ‘EXPLORER-HCM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이번에 FDA로부터 발매를 승인받은 것이다.
이 시험의 착수시점에서 충원된 피험자들의 73%가 NYHA 2급, 27%는 NYHA 3급에 해당하는 환자들이었다.
평균 좌심실 박출계수는 74%였고, 평균 발살바(Valsalva) 좌심실 유출로(LVOT) 압력차는 73mmhg로 나타났다.
착수시점에서 평균 캔자스시티 심장근육병증 23개 문항 설문조사(KCCQ-23) 임상개요점수(CSS)는 71점이었다.
30주차에 평가했을 때 ‘캄지오스’를 복용한 환자들의 37%가 복합 일차적 평가목표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혼합정맥 산소분압(pVO₂)이 1.5mL/kg/min 이상 개선되고 NYHA 등급이 최소한 1등급 개선되었거나, pVO₂이 3.0mL/kg/min 개선되고 NYHA 등급의 악화가 수반되지 않은 환자들의 비율이 37%에 달했다는 의미이다.
반면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경우에는 이 수치가 17%에 머물러 두 그룹 사이에 19%의 격차가 눈에 띄었다.
아울러 30주차에 ‘캄지오스’ 복용그룹은 전체 이차적 평가목표에 걸쳐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괄목할 만한 개선이 관찰됐다.
이차적 평가목표들을 보면 착수시점과 비교한 운동 후 좌심실 유출로 최대 압력차의 평균 변화도가 -47mmHg 및 -10mmHg로 -35%의 격차를 내보였고, 착수시점과 비교한 pVO₂의 평균 변화도 또한 1.4mL/kg/min 및 -0.1mL/kg/min으로 집계되어 1.4%의 차이가 관찰됐다.
마찬가지로 NYHA 등급이 1등급 이상 개선된 환자들의 비율이 65%(80명) 및 31%(40명)으로 집계되어 34%의 격차를 드러냈으며, 착수시점과 비교한 KCCQ-23 임상개요점수 역시 14 및 4로 9%의 차이를 나타냈다.
KCCQ-23 임상개요점수는 총 증상점수(TSS)와 신체 제한점수(PL)로부터 도출되는 것이다. 임상개요점수가 0~100 사이에 분포하면서 점수가 높게 나타나면 중증 증상들과 신체적 제한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EXPLORER-HCM 시험’에서 피험자들의 5%를 상회하는 비율로 수반된 데다 ‘캄지오스’를 복용한 그룹에서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좀 더 빈도높게 관찰된 부작용을 보면 현훈과 실신이 눈에 띄었다.
두 그룹에서 착수시점의 평균 휴지기 좌심실 박출계수는 74%로 나타났다.
30주에 걸친 치료기간 동안 도출된 평균적인 좌심실 박출계수 변화도를 보면 ‘캄지오스’ 복용그룹에서 -4%,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 0%로 집계됐다.
38주차에 평가한 평균 좌심실 박출계수는 두 그룹에서 착수시점과 대동소이했다.
이밖에 ‘캄지오스’ 복용그룹의 6%와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2%에서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좌심실 박출계수가 50%를 상회하는 수준의 가역적 감소를 나타냈다.
이 중 ‘캄지오스’ 복용그룹에 속했던 7명의 환자들은 복욕중단 후 좌심실 박출계수가 회복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