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슈社는 면역 저해 수용체의 일종인 ‘TIGIT’와 결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면역 항암제 후보물질 티라골루맙(tiragolumab)이 FDA로부터 ‘혁신 치료제’로 지정받았다고 5일 공표했다.
FDA가 ‘혁신 치료제’로 지정한 구체적인 내용은 종양에서 프로그램 세포사멸 리간드-1(PD-L1) 수치가 높게 나타나면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또는 역형성 림프종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ALK) 변이를 동반하지 않는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위한 1차 약제로 티라골루맙과 ‘티쎈트릭’(아테졸리주맙)을 병용하는 요법이다.
티라골루맙은 FDA에 의해 ‘혁신 치료제’로 지정받은 최초의 항-TIGIT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FDA는 임상 2상 ‘CITYSCAPE 시험’에서 도출된 무작위 자료를 근거로 ‘혁신 치료제’ 지정을 결정한 것이다.
‘CITYSCAPE 시험’은 면역 저해 수용체들인 TIGIT와 PD-L1을 표적으로 작용토록 했을 경우 면역 반응을 증강시켜 항암활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임을 입증한 최초의 시험례이다.
로슈社의 레비 개러웨이 최고 의학책임자 겸 글로벌 제품개발 대표는 “새로운 면역 항암제 표적의 하나인 TIGIT에 대한 연구를 로슈는 지난 1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진행해 왔다”면서 “FDA가 일부 유형의 폐암 환자들에게서 치료효과를 괄목할 만하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약물로 티라골루맙에 내포된 잠재력을 인정해 준 것은 고무적인 부분”이라는 말로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로슈는 항암화학요법제 부재(chemotherapy-free) 병용요법과 크게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가 존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암 초기단계 임상시험을 포함한 티라골루맙의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힘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개러웨이 대표는 덧붙였다.
‘혁신 치료제’는 기존의 치료제들에 비해 치료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임을 입증한 예비적 자료가 확보된 가운데 중증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들을 적응증으로 개발이 진행 중인 약물들의 개발‧심사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에서 도입된 제도이다.
로슈가 보유한 의약품 포트폴리오 가운데 ‘혁신 치료제’ 지정이 이루어진 것은 티라골루맙이 37번째이다.
현재까지 티라골루맙 및 ‘티쎈트릭’ 병용요법은 임상 2상 ‘CITYSCAPE 시험’에서 확보된 자료를 근거로 할 때 PD-L1 양성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을 치료하는 데 고무적인 효능 및 안전성이 입증된 상태이다.
‘CITYSCAPE 시험’은 항-TIGIT 치료제 분야에서 최초로 진행된 피험자 무작위 분류 임상시험례이다.
지난해 5월 열린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0년 가상(假想) 사이언티픽 프로그램에서 발표된 이 시험의 전체 자료를 보면 평균 10.9개월에 걸친 추적조사를 진행한 결과 티라골루맙 및 ‘티쎈트릭’ 병용요법群이 37%의 총 반응률을 나타내 ‘티쎈트릭’ 단독요법의 21%를 괄목할 만하게 상회한 데다 종양이 악화되었거나 환자가 사망한 비율 또한 ‘티쎈트릭’ 단독요법群에 비해 42% 낮은 수치를 보였다.
PD-L1 수치가 높게 나타난 환자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보더라도 티라골루맙 및 ‘티쎈트릭’ 병용요법群은 총 반응률이 66%에 달해 ‘티쎈트릭’ 단독요법群의 24%에 비해 확연한 우위를 나타냈으며, 평균 무진행 생존기간의 경우 아직까지 도출되지 않았다.
참고로 ‘티쎈트릭’ 단독요법群의 평균 무진행 생존기간은 4.11개월로 집계됐다.
이밖에도 자료를 보면 티라골루맙 및 ‘티쎈트릭’ 병용요법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내약성을 나타내 3급 이상 총 부작용 수반률이 48%로 분석됐다. ‘티쎈트릭’ 단독요법群의 3급 이상 총 부작용 수반률은 44%였다.
‘CITYSCAPE 시험’의 생체지표인자 분석자료는 오는 28~31일 가상(假想) 이벤트로 개최되는 국제 폐암연구협회(IASLC)의 2020년 폐암 세계 학술회의(WCLC)에서 ‘임상 2상 CITYSCAPE 시험에서 비소세포 폐암 1차 약제로 PD-L1 IHC 및 TIGIT 하위그룹을 대상으로 한 티라골루맙 및 아테졸리주맙 병용요법의 효능’ 제목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로슈는 ‘티쎈트릭’ 병용요법에서 관찰된 효능을 근거로 보다 다양한 용도로 티라골루맙의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는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 무작위 분류 임상시험례들과 소세포 폐암 환자 임상시험, 3기 비소세포 폐암 및 국소진행성 식도암을 포함한 초기단계에서 티라골루맙이 나타내는 효과를 평가한 탐색적 시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전이성 식도편평세포암과 자궁경부암, 그리고 기타 유형의 암들을 표적으로 한 초기단계 시험 등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01 | 대한약사회 “정부는 한약사 문제 즉시 해결... |
02 | 바이오솔루션,연골세포치료제 '카티로이드' ... |
03 | 동아쏘시오홀딩스, 바이오시밀러 상반기 매... |
04 | 유한클로락스,창립 50주년 새 기업 로고 공개 |
05 | GC녹십자,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내년 상... |
06 |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패혈증 신약 ... |
07 | 부광약품 자회사 콘테라파마, ‘CP-012’ 1b상... |
08 | 바이오솔루션, 흥케이병원과 연골재생치료 ‘... |
09 | 명인제약, 공모가 상단 58000원 확정…의무보... |
10 | 이엔셀, 세계 최대 세포유전자치료제 컨퍼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