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락소, 中 제약사와 코로나 19 백신 개발 제휴
클로버 바이오 개발 백신에 판데믹 면역증강 시스템 적용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2-25 10:44   

중국 쓰촨성(四川省) 청두(成都)에 소재한 임상단계 생명공학기업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社(Clover Biopharmaceuticals‧三叶草生物制約)가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와 공동연구 제휴에 합의했다고 24일 공표해 주목되고 있다.

양사가 단백질 기반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후보물질 ‘코비드-19 S-삼합체’(COVID-19 S-Trimer)의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손을 잡은 것이기 때문.

이에 따라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전임상 단계 시험에서 S-트라이머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자사의 판데믹 면역증강 시스템을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 측에 제공키로 했다.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社는 중국 최대 규모의 자체 상업용 cGMP 제약시설 가운데 하나를 보유한 생명공학사여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의 개발이 완료되었을 때 신속한 생산시설 확충과 대규모 제조‧공급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진 곳이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 백신 부문의 토마스 브로이어 최고 의학책임자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유망한 백신 후보물질을 보유한 제휴선에 우리의 면역증강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중국에서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 측의 첨단연구에 힘을 보탤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면역증강제를 사용하는 일은 판데믹 상황에서 각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부문”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1회 투여분당 필요로 하는 백신 단백질의 양을 줄여 더 많은 투여분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을 보호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게 브로이어 최고 의학책임자의 설명이다.

실제로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다양한 면역증강 시스템을 적용해 혁신적인 백신을 개발하는 분야에서 선도주자의 한곳으로 잘 알려진 제약기업이다.

일부 백신의 경우 면역증강제를 첨가하면 면역반응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면역증강제를 첨가하지 않은 백신에 비해 보다 강력하면서 지속적으로 감염증에 대한 면역력을 확립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社의 조슈아 리앙 최고 전략책임자는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가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측이 보유한 판데믹 면역증강 시스템과 우리의 백신 후보물질 S-트라이머를 결합시켜 효능을 평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리앙 최고 전략책임자는 또 “우리가 사용권을 보유한 혁신적인 신약개발 플랫폼의 하나로 이미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에게서 항체를 생성시키는 효과가 확인된 ‘트라이머-태그Ⓒ’(Trimer-TagⒸ) 기술을 적용한 가운데 S-트라이머의 개발을 신속하게 진행해 현재와 미래의 코로나바이러스 창궐 상황에 맞서는 데 힘을 보탤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라이머-태그Ⓒ’는 새로운 공유결합 삼합체 융합 단백질의 제조를 가능케 해 주는 혁신적인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의 일종이다.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社의 스티븐 공 사업개발‧전략 담당부회장은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면서 S-트라이머 백신 프로그램의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된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라면서 “이번에 확립된 제휴관계가 비상상황에서 새로운 백신의 성공적인 개발을 신속하게 진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는 관심이 있는 보건당국이나 대학 또는 업계 관계자들이 고결한 공동의 대의(大義)를 위해 우리에게 연락을 취해 줄 것을 고대한다고 공 부회장은 덧붙이기도 했다.

한편 클로버 바이오파마슈티컬스 연구진은 지난달 새롭게 확인된 SARS-CoV-2 바이러스의 유전자 DNA 배열을 규명한 데 이어 바이러스가 세포에 달라붙도록 하는 바이러스 스파이크 (S)-단백질을 설계하고 유전자 합성을 종결짓기 위한 연구에 착수한 상태이다.

이와 함께 자사가 특허를 보유한 ‘트라이머-태그Ⓒ’ 기술을 이용해 S-트라이머 아단위(subunit) 백신을 제조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