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 심장병ㆍ암 치료제 개발 AI 접목 제휴
인공지능 기반 R&D 선도 英 엑스사이언티아와 합의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1-10 11:57   

영국 엑스사이언티아社(Exscientia)는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분야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인공지능이 접목된 신약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최근 2~3년 동안만 보더라도 사노피社,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 및 세엘진 코퍼레이션社 등이 앞다퉈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했을 정도.

이번에는 바이엘 그룹이 엑스사이언티아社와 3개년‧다중표적 제휴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공표해 재차 관심을 모으고 있다.

양사는 엑스사이언티아 측이 특허를 보유한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및 약물설계 노하우를 바이엘 측이 자랑하는 자료 및 신약개발 역량과 결합시켜 초기단계의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하기 위해 손을 잡은 것이다.

각종 심혈관계 치료제 및 항암제 분야의 잠재적 신약후보물질의 새로운 선도구조(novel lead structures)를 확인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취지에서 제휴관계를 구축했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엑스사이언티아 측은 계약성사금과 연구‧개발 성과금, 단기 및 임상 성과금 등을 포함해 최대 2억4,000만 유로를 지급받을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또한 엑스사이언티아 측은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를 수수할 수 있는 권한까지 보장받았다.

바이엘 측의 경우 양사간 제휴를 통해 도출된 새로운 선도구조에 대한 전권을 갖기로 했다.

이와 관련, 인공지능은 신속한 신약개발을 가능케 해 줄 수 있는 데다 품질, 비용 및 연구‧개발 주기(cycle time) 등의 측면에서 신약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초기단계의 연구‧개발 성과물이 신약으로 허가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12~15년 안팎의 기간이 소요되고 있는 형편이다.

바이엘社 및 엑스사이언티아社는 초기단계의 연구‧개발에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해 신약후보물질의 잠재성을 예측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 때 엑스사이언티아 측은 보유한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기술을 통해 대응하기 어려운 목표들을 위한 새로운 화학물질을 제공하고, 차적화 주기(less optimization cycles)를 거쳐 신약후보물질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줄 전망이다.

바이엘 AG社 제약사업 부문 이사회 이사이자 연구‧개발 부문을 총괄하고 있는 외르크 묄러 대표는 “우리는 인공지능과 같은 디지털 기술들이 환자를 위한 신약개발을 간소화하고 신속화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는 만큼 연구‧개발에서 디지털 전환을 지향하고 있다”는 말로 엑스사이언티아 측과 파트너 관계를 구축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뒤이어 “엑스사이언티아 측과 제휴한 덕분에 프로젝트 성과물을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도출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적합한 약물표적 및 선도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해 연구‧개발 일정을 신속화하는 등 적잖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마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엑스사이언티아社의 앤드류 홉킨스 대표는 “도전받는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해 이미 아낌없는 투자를 지속해 온 세계적인 제약기업으로 잘 알려진 바이엘과 손잡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과학저널 ‘네이처’誌에 게재한 연구논문들을 통해 저분자량 약물들의 자동화 설계가 가능함을 입증한 이래 여러 제휴선과 미래의 신약후보물질 개발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입증해 온 곳이 엑스사이언티아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홉킨스 대표는 “이제 우리는 바이엘 측과 협력을 진행해 핵심적인 치료제 영역에서 이처럼 전환적인 변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양사가 제휴계약을 체결하기까지 바이엘 제약사업 부문의 사업개발‧라이센싱팀이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