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심장병학회(ACC)가 항당뇨제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을 우선순위(preferred) 나트륨 포도당 공동수송체-2(SGLT-2) 저해제로 사용토록 권고하는 내용의 새로운 전문가 합의결정 지침(Consensus Decision Pathway)을 26일 공개했다.
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성인환자들에게서 심인성 사망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입증된 항당뇨제인 ‘자디앙’을 우선적으로 환자 치료에 사용토록 권고한다는 것.
미국 심장병학회가 2형 당뇨병 및 죽상(粥狀)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을 병발질환으로 나타내는 성인환자들에게서 심인성 사망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용도의 요법제에 관한 첫 전문가 합의결정 지침으로 내놓은 이번 권고는 ‘미국 심장병학회誌’에 지난달 ‘심혈관계 위험성 감소를 위한 당뇨병 치료 전망의 변화’ 제목의 보고서로 게재된 바 있다.
‘자디앙’은 베링거 인겔하임社와 일라이 릴리社가 공동으로 발매하고 있는 항당뇨제이다.
미국 심장병학회는 42개국에서 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을 병발질환으로 나타내는 7,000명 이상의 환자들을 충원한 후 진행되었던 ‘EMPA-REG OUTCOME 시험’에서 입증된 결과를 근거로 이번에 ‘자디앙’ 관련 권고안을 내놓은 것이다.
이 시험은 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을 동시에 나타내는 성인환자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표준요법제에 더해 ‘자디앙’ 또는 플라시보를 병용토록 하면서 효과를 평가하는 내용으로 진행된 사례이다.
미국 심장병학회는 이날 전문가 합의결정 지침과 별도로 미국 당뇨병협회(ADA)와 유럽 당뇨병연구협회(EASD)가 심혈관계 관리를 돕는 약물로 ‘자디앙’을 포함한 SGLT2 저해제들을 사용토록 권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디앙’은 미국 당뇨병협회가 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을 동시에 나타내는 환자들에게서 심인성 사망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용도로 2018년 당뇨병 치료지침에서 권고하고 있는 유일한 SGLT2 저해제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50개 이상의 치료지침에 심혈관계 효용성이 입증된 2형 당뇨병 치료제로 ‘EMPA-REG OUTCOME 시험’에서 도출된 내용이 새로 포함됐다는 것이 베링거 인겔하임 및 일라이 릴리 측의 설명이다.
베링거 인겔하임社의 토마스 제크 의무(醫務)‧법무 담당부회장은 “2형 당뇨병 환자들이 설령 혈당 수치를 충분히 조절하고 있을 때에도 중증 심혈관계 합병증 및 제 증상이 수반될 위험성이 높은 그룹”이라며 “이것이 바로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심혈관계 위험성을 낮추는 일이 대단히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뒤이어 “이제 미국 심장병학회 전문가 합의결정 지침과 미국 당뇨병협회 및 유럽 당뇨병연구협회가 모두 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을 나타내는 성인환자들을 위한 포괄적인 심혈관계 프로그램에 ‘자디앙’과 같은 약물을 포함시키도록 권고하기에 이른 것은 여기에 해당하는 환자그룹에서 심혈관계 개선효능이 입증되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 같은 권고안들은 당뇨병 관리가 단지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수준에서 보다 포괄적인 심혈관계 위험성 감소전략으로 이행하고 있는 근본적인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제크 부회장은 덧붙였다.
미국 심장병학회 2018년 전문가 합의는 심혈관계 위험성을 낮추고 2형 당뇨병 환자들의 생존률을 개선하기 위해 의료인들에 의한 공동의 치료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당뇨병 환자들은 건강한 이들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성이 최대 4배 정도까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심혈관계 질환은 당뇨병 환자들의 주요한 사망원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형편이다.
한편 미국 심장병학회는 2형 당뇨병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1차 개원의, 내과 전문의, 내분비내과 전문의 뿐 아니라 전문 간호사(nurse practitioners), 의사 보조원(physician assistants), 당뇨병 교육자 및 약사를 포함해 폭넓은 의료팀의 일원으로 환자치료에 임해줄 것을 심장병 전문의들에게 요망했다.
일라이 릴리社의 셰리 마틴 의무(醫務) 담당부회장은 “2형 당뇨병 관리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준 것이 ‘EMPA-REG OUTCOME 시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제 심혈관계 위험성 감소는 당뇨병 관리에서 최우선 순위가 두어지고 있는 목표의 하나”라고 단언했다.
01 | 대한약사회 “정부는 한약사 문제 즉시 해결... |
02 | 바이오솔루션,연골세포치료제 '카티로이드' ... |
03 | 동아쏘시오홀딩스, 바이오시밀러 상반기 매... |
04 | 유한클로락스,창립 50주년 새 기업 로고 공개 |
05 | GC녹십자,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내년 상... |
06 |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패혈증 신약 ... |
07 | 부광약품 자회사 콘테라파마, ‘CP-012’ 1b상... |
08 | 바이오솔루션, 흥케이병원과 연골재생치료 ‘... |
09 | 명인제약, 공모가 상단 58000원 확정…의무보... |
10 | 이엔셀, 세계 최대 세포유전자치료제 컨퍼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