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난임치료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에 한의협은 ‘협력’의 제안을 건넸지만 의협은 연구 결과에 대한 인정조차 ‘배제’하고 나섰다.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의약 난임치료 연구 관련 토론회’에서는 의ㆍ한의계 전문가가 한 자리에 모여 한의학적으로 접근한 난임치료 연구와 관련해 논의를 펼쳤다.
동국대학교 한의대 김동일 교수는 만 20세 이상 44세 이하 여성 90명에 한방 난임치료를 한 결과 난임치료 후 임신율이 14% 정도로 인공수정과 유사한 수준의 효과가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또한 김 교수는 임상시험의 디자인 한계점에 대해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 난임 해결이라는 큰 목표를 위해 의료계의 임상시험 참여 및 협력을 제안했다.
이에 의료계 입장인 연세의대 산부인과 최영식 교수는 “전향적으로 환자를 모집했을 뿐 전향적 연구로 근거가 매우 낮아 본 연구를 통해 한방난임치료가 현대과학적 기준에서 검증됐다고 볼 수 없다”며 연구결과를 반박했다.
이어 “이번 연구결과는 오히려 한방 난임치료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의문을 불러와 한방난임치료의 유효성, 안정성에 대한 아무런 검증 없이 이를 방치해서는 안 되며 이를 위한 정부 재정지원도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의계의 ‘협동’ 제안에 대해서도 의료계의 입장은 단호했다. 의료계는 연구를 합동하기 위해선 연구의 유효성에 대한 인정을 ‘배제’해야 한단 입장이다.
차병원 산부의과 류상우 교수는 “난임치료를 하는 산부인과 의사들은 임신율 높이는데 목숨을 걸고 있다”면서 “한의계가 먼저 근거 있는 임상시험을 한 다음에 의료계의 참여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함춘여성의원 이중엽 원장도 “우선으로 전제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 지자체, 정부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사업을 일단 중단해야 한다"며 "동물실험부터 시작해서 한의약 자체가 난임치료에 도움 되는 게 누적된다면 병합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중앙대의대 이무열 교수는 “학문의 상호 존중은 필요하지만 한의계가 의료계의 협조를 요구한다면 효과가 없다는 점을 인정하는 윤리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조준영 꽃마을한방병원 원장은 “이번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대부분 연령이 높고 임신 실패 경험이 평균적으로 더 높았다”며 “일반적인 난임 환자들의 자연임신율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 원장은 “이번 연구가 근거가 부족한 것은 맞다”면서도 “좀 더 좋은 연구가 될 수 있도록 의계에서도 도움을 주시고 협력을 해주면 감사하겠다”고 호소했다.
상반된 두 의견에 대해 이창준 한의약정책관은 "의과와 한의과가 여러 가지 치료방법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토론회를 통해 더 많은 논의를 이루고, 차후 치료 방법이 융합, 통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