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초기에 ‘어디’로 가느냐가 예후의 관건”
집중치료실 및 당직의 여부 영향 커…제도적 뒷받침 필요 절실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12-16 06:00   수정 2019.12.16 07:07
뇌졸중은 발생 초기에 사망과 장애 발생률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시간만큼이나 ‘어떤’ 병원으로 가느냐가 영향이 커 인증센터의 제도적 정착 중요성이 주목받았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대한뇌졸중학회 질향상 위원장)은 약업신문을 만나 뇌졸중 센터의 필요성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뇌졸중(stroke)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생기는 혈관질환으로, 발생 후 골든타임인 4~6시간 내 치료하지 않으면 치료 효과가 급격히 떨어진다. 이에 대한뇌졸중학회는 뇌졸중의 안전망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뇌졸중센터(Primary Stroke Center) 인증사업’을 작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배 교수는 “2013년~2014년 뇌졸중 치료평가 자료 분석을 보면, 중증뇌졸중 환자 발생 시  단 3분의 1만이 시술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된다. 환자, 가족, 119대원마저도 뇌졸중인지 판가름하기 힘들 뿐 아니라 제대로 갖춰진 병원도 찾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뇌졸중 환자의 치료결과는 우선 ‘어디로’ 가느냐가 결정한다. 가까운 병원이 아닌 뇌졸중 집중치료실과 24시간 신경과 당직의가 갖춰진 병원을 찾아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제대로 된 프로토콜과 영상기기가 없거나 뇌졸중 치료제인 tPA(조직플라스미노겐활성화물질) 제제도 사용하지 않는 곳도 있다”고 언급했다.

뇌졸중의 치료 과정은 △첫째, 막힌 부분을 뚫는 과정(항혈전제 사용, tPA치료) △둘째, 출혈 예방 및 혈압 측정 등, 즉 2~3일간의 강도 높은 중환자실 치료 △셋째, 원인을 규명하고 다시 막히지 않도록 약물 및 재활 치료를 진행한다.

따라서 응급 환자에 대한 프로토콜이 있는지, 당직(on call) 시스템, 뇌졸중 집중치료실 구비 여부가 주요 핵심이며 이 조건에 맞는다면 뇌졸중 센터로서 인증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왜 국내에선 아직 60여개의 병원 밖에 승인받지 못한 걸까.

배 교수는 “국내에서 뇌졸중 집중 치료실과 같은 중환자실의 설치비는 막대한 비용이 들지만 수가나 입원비가 그에 비해 매우 저렴하다. 돈이 되지 않는다는 것. 이 때문에 국내에서는 현재 3분의 1밖에 보급되지 않고 있다”며 “외국은 뇌졸중 집중치료실이 70~80%가 넘지만 국내에선 50~60%밖에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심뇌혈관센터 유지하기에 가장 힘든 당직 문제도 있다. 그는 “백날 인증해봤자 일하는 사람이 없으면 문제가 된다. 전공의 근무시간 문제가 대두되면서 대부분의 병원이 전공의 당직을 병용하고 있다. 당장은 인력문제가 해결될지 몰라도 미래엔 환자를 누가 제대로 볼 수 있겠나”고 꼬집었다.

이어 “치료도, 인력도 ‘집중화’가 필요하다. 전공의 체계와 결부해 24시간 365일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한다. 60개 병원 대부분이 전공의 1명으로 돌아가는데, 연차당 두 명은 있어야 잘 돌아갈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선 제도적으로 개선 시급하다. 제대로 된 병원이 지속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이다”고 강조했다.

배 교수에 따르면 뇌졸중 치료에도 많은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골든타임이 지난 환자서도 최신영상 기법이 있다면 3명 중 1명의 치료 효과를 바꿀 수 있고, 부작용을 겪어온 뇌졸중 환자들을 위한 부작용을 낮춘 효과 좋은 약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이들 모두 정부가 아니면 투자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덧붙여 그는 “학회에서만 노력한다고 해서 발생률이나 사망률을 낮출 수 없다”며 “환자 스스로 뇌졸중 증상과 가까운 뇌졸중 인증센터를 알고 있는 것이 예후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면서도 “그 전에 이러한 인증병원이 확대되고 또 유지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전 세계 6명 중 1명 뇌졸중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노령화가 빨라지고 있는 만큼 발생률, 퇴원 후 관리에 대해선 정부의 지원이 무엇보다 가장 필수적이다. 정부, 학회, 병원, 지역 각 부처가 연계돼 환자의 치료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