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킷헬스케어가 국제미용성형외과학회에서 자가세포를 이용한 바이오 3D프린팅 성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선다.
로킷헬스케어(대표 유석환)가 지난 31일 부터 5일간 마이애미에서 열린 ISAPS(이하 국제미용성형외과학회)에서 흉터, 화상, 창상 치료를 위한 자가세포이용 바이오 3D프린팅 피부재생 성공사례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해외 전문의 400여명이 참여한 이번 학회에서 로킷헬스케어는 자가세포, 바이오 3D프린터를 사용한 방식과 함께 실제 피부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생물학적 매커니즘을 발표했다. 이는 국내 기업 최초로 자가세포와 바이오 3D프린팅을 이용해 흉터, 화상, 창상 피부를 재생한 사례다.
기존의 피부재건 치료방식은 흉터가 남지만 로킷헬스케어와 미국의 MGH(Massachusetts General Hostital)가 협력해 개발한 이 방식은 환자에게서 추출한 자가 지방조직을 사용해 자기 재생력으로 흉터 없이 피부를 재생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법이다. 피부재생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 요소인 MMP(기질분해효소)와 TIMP3의 밸런스 조절을 타깃으로 흉터 없이 재건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 이 치료법은 현재까지 특별한 해결책이 없어 고생하는 만성적 욕창, 당뇨발환자 등까지 확대 적용할 가능성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는 피부 재생 치료법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 이 치료법은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한 상태로 해외 각국에서 피부 재생 플랫폼을 자국에 도입하려는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