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수급불안정(품절)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성분명처방' 의무화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약사단체의 주장이 나왔다.
서울특별시약사회 약사정책기획단은 7일 입장문을 발표하고 '성분명처방'은 △국가적 낭비를 줄이고 의약품 수급불안정을 완화하며 △의약품 수급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의약품 유통을 개선하고 △의약품 수급불안정으로 인한 국민의 피해를 줄인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 시민사회단체 등에도 이같은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약사회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시절 감염병 치료약에 대한 수요 폭증에 따른 의약품 품절대란 이후로 특정 효능군에 국한되지 않는 일상적인 의약품 품절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서울시약사회는 문제 해결을 위해선 원료의약품 공급원 다각화, 수급불안정(품절) 의약품 상시 모니터링과 처방 제한, 약가 조정 등 다방면에서의 정책과 정부 차원의 관리체계가 필요하다면서 '성분명처방'이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국가적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상품명처방' 제도 하, 한 가지 성분명을 가진 약이 수많은 제약사의 상품명 약으로 처방되고 있고, 약국에선 같은 성분의 약들이 상품명이 달라 조제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된다는 게 서울시약사회의 설명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한 성분 당 수십 개 제약사의 다른 상품명의 의약품이 존재해 처방약 품목 수가 2만 개를 넘어선 상황으로, 이는 OECD 국가의 평균 처방약 품목 수가 4천 개에 불과한 것과 비교해 약 5배나 많은 수준이다.
서울시약사회는 "정부 차원에서 막대한 세금을 들여 품질과 생산을 관리하는 의약품 폐기는 심대한 국가적 낭비"라며 "성분명처방이 도입되면 동일한 성분의 다른 제약사 약으로 조제할 수 있으니 제약사에서 생산한 의약품이 폐기되는 국가적 낭비를 막고 품절 국면에 보건의료현장에서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 의약품 수급불안정 상황을 눈에 띄게 완화시킬 수 있다"고 했다.
또 성분명처방을 통해 의약품 선택권이 환자에게 주어지면 의사에게 제공되는 경제적 이익을 포함하는 과도한 영업활동이 줄면서 의약품 유통이 투명해진다고 서울시약사회는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의약품 가격과 품절정보가 환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특정 회사 의약품의 수급불안정 상황에서도 다른 제약사의 동일성분 약으로 조제할 수 있는 것을 환자가 인지하고 필요한 의약품을 지속적으로 복용할 수 있게 되고, 영업비용과 재고부담이 감소하면서 다른 나라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제네릭 의약품의 약값도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시약사회는 올해 약사 회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명 중 7명은 최근 장기화되고 있는 의약품 품절대란을 해결하기 위해서 성분명처방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서울시약사회는 "대다수의 약사들은 수급불안정으로 특정 제약사 의약품이 없어 조제를 못하고 환자를 돌려보낸 경험이 있다"면서 "의약품 수급불안정에 따른 약물 복용 지연으로 인한 치료 지연, 질환 진행 또는 합병증 발생, 치료 실패 등의 국민적 피해를 줄이고, 환자가 겪어야 할 혼란, 시간 낭비, 치료비용 증가 등의 사회적 비용도 감소시키기 위해선 성분명처방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