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가 내년부터 국내 플랫폼의 해외 진출, 전략품목 집중 육성, 전용 물류체계 구축 등을 포함한 온라인 수출 활성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이 온라인 기반으로 수출 저변을 넓힐 수 있도록 제품 현지화, 통관 간소화, K-브랜드 보호 방안도 함께 마련됐다.
중기부는 12일 인천국제공항 국제우편물류센터에서 온라인 수출 기업과의 간담회를 열고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소비 트렌드의 핵심 채널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미국의 소액면세 혜택 폐지 등 관세환경이 급변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이번 대책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수출 경로를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성이 높은 전략 제품을 집중 육성하며, 물류·통관 부담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특히 화장품을 포함한 K-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보호하고, 오프라인 진출과의 연계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중기부는 성장성이 검증된 국내 유망 플랫폼을 글로벌 수준으로 키우기로 했다. 예비유니콘, TIPS 참여 기업 등을 대상으로 플랫폼 리뉴얼, 해외시장 분석, 마케팅을 지원하고, 필요 시 정책자금도 연계한다. K-POP 굿즈, 홈데코 등 특화상품 중심의 플랫폼과 남미·중동 시장 기반의 신흥 플랫폼도 집중 육성해 수출 통로를 다변화할 방침이다.
중소기업과 플랫폼 간 협력도 강화된다. 플랫폼사와 전문셀러가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면, 정부가 입점·홍보 비용을 지원하고 플랫폼은 수수료 우대, 교육, 기획전 개최 등을 제공한다. 미국·동남아뿐 아니라 동유럽, 중남미, 중동 등지에서도 영향력 있는 플랫폼을 발굴해 지역별 맞춤 기획전과 오프라인 행사로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온라인 수출 정책, 신청, 물류 연계 기능을 통합한 고비즈코리아 플랫폼은 ‘온라인 수출 관문’으로 개편된다. 내년부터는 클라우드 기반 전환과 AI 매칭 기능도 도입해 기업별 맞춤 정보를 제공한다.
또 온라인 수출 전략품목을 별도로 지정해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국내 매출이나 주요 전시회에서 이미 검증된 제품 중 글로벌 시장성이 높은 품목을 전략품목으로 선별하고, 이들 기업에 바우처를 통해 시장조사, 인증, 홍보, 물류, IP 확보 등을 자율적으로 선택해 지원하는 구조다. 화장품처럼 해외 수요가 높은 품목의 경우, 바이어 초청 상담회나 품목별 사절단 파견 등을 통해 K-뷰티 기업의 해외 바이어 매칭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제품 현지화 지원도 강화된다. 성분, 포장, 표기사항 등 국가별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을 신설하고, 인증이나 지식재산권 확보는 기존 정책금융과 연계해 지원한다. 주요 유통사와 협력해 공동 유통망 진출을 기획하는 프로젝트형 수출 지원 사업도 새롭게 추진된다.
온라인에서 시장성을 검증한 기업이 오프라인 진출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도 도입된다. ‘오프라인 첫수출 원클릭 패키지’는 현지화, 마케팅, 컨설팅을 묶어 제공하며, 오프라인 인기제품을 온라인 전용 수출 제품으로 개발하는 ‘온라인 수출 제품화 사업’도 시범 운영된다.
물류·통관 부담 완화 조치도 마련됐다. 오는 2026년부터 온라인 수출 전용 물류바우처를 도입하고, EMS 할인(15~30%), 민간 물류사 선적공간 활용 등 실질적 비용 절감책이 시행된다. 같은 해 말부터 본격 가동되는 인천공항 ‘스마트트레이드 허브’는 하루 2만4000개 이상의 물량을 처리할 수 있는 중소기업 전용 항공물류센터로 운영되며, 부산항 등 국내외 주요 거점에도 물류 공간을 추가 확보한다. 미국 내 K-뷰티 기업을 위한 화장품 전용 물류센터도 별도 구축될 예정이다.
전자상거래 환경에 맞춰 통관 제도도 개편된다. 간이수출 신고 대상 확대, 반품 물품 반입 절차 간소화 등이 추진되며, 중기부와 관세청은 합동 설명회를 열고 고비즈코리아 내 통관 지원 코너를 운영해 애로 해소에 나선다.
해외에서의 위조·모방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K-브랜드 보호 방안도 포함됐다. 지식재산처, 중기부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 ‘K-브랜드 지식재산 보호 협의체’를 구성해 체계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GBC신고센터와 해외IP센터의 상담도 확대 운영된다. 무역보험공사와 협력해 플랫폼사의 경영 리스크로 인해 정산금이 미지급되는 사태를 막기 위한 전용 보험 상품도 새롭게 출시된다.
중기부 한성숙 장관은 “이번 대책을 현장에서 빠르게 체감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이행하고 점검해 나가겠다”며 “한국이 온라인 수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방안도 추가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 01 | 에이비엘바이오 "일라이 릴리와 지분 투자 ... |
| 02 | [약업 분석] HLB그룹 종속기업 30여개, 상반... |
| 03 | 씨티씨바이오, 조창선 단독 대표이사 체제 전환 |
| 04 | [약업 분석] 비보존제약, 3분기 매출 68억…... |
| 05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 |
| 06 | 건보공단 인건비 6000억 과다지급…종결 사안... |
| 07 | 알테오젠, 3Q 누적 매출액 1514억·영업익 87... |
| 08 | 갤럭스-이수앱지스, AI기반 신약개발 공동연... |
| 09 | CG인바이츠, AACR-KCA서 '차세대 항암백신 ... |
| 10 | 에이비엘바이오 "릴리와 기술이전 설명, 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