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0년간 암 치료 실패는 암세포의 유전자 변이로 인한 내성 때문이 아니라 암세포의 방어벽으로 인해 약물이 암세포에 도달하지 못하는, 즉 '가짜내성'(Pseudo-resistance) 때문이었음이 사람 유래 실험에서 입증됐다.
현대ADM바이오는 모회사 현대바이오사이언스와의 공동연구 결과,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 모델에서 가짜내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이 암 치료 실패의 핵심 원인임을 밝혀냈다고 9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실제 환자의 췌장암 조직으로 만든 오가노이드 모델에서 표준항암제 젬시타빈(Gemcitabine)을 고농도로 투여했을 때, 암연관섬유아세포(CAF)가 존재하면 약물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현상을 확인했다.
반면 여기에 ECM(세포외기질)과 CAF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Penetrium을 병용하자 ECM과 CAF로 형성된 방어벽이 무너지고 암세포 생존율이 0%로 수렴되는 결정적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80년 동안 항암제의 효과가 없었던 이유는 '항암제를 반복 투여하면 암세포의 유전자 변이로 인해 내성이 생기기 때문'이 아니라 '가짜내성을 해결하지 못하였기 때문'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췌장암은 삼중음성유방암과 함께 가장 예후가 나쁜 대표적 난치암으로, 기존 항암제의 반응률이 극히 낮다. 연구진은 암세포 주변의 ECM·CAF 구조가 항암제뿐 아니라 방사선 치료에도 저항성을 유발하고, 치료가 반복될수록 이 방어벽은 더욱 강화된다고 설명했다.
현대ADM과 현대바이오는 Penetrium을 활용한 동물 효능 실험에서도 화학항암제(파클리탁셀), 표적항암제(베바시주맙), 면역항암제(PD-1 억제제) 등 다양한 치료제들과 병용 시 가짜내성을 제거하고 항암 효과를 회복하는 현상을 확인한 바 있다. 이는 가짜내성이 모든 항암제의 실패에 공통으로 작용하는 구조적 원인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Penetrium은 마우스 모델 → 반려견 모델 →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 모델에 이르는 3단계 전임상 모델에서 모두 가짜내성 제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오가노이드 모델은 사람과 가장 유사한 약물 반응 환경으로, 임상 이전 단계에서 사람 대상 효능 예측 정확도가 가장 높다.
현대ADM과 현대바이오는 Penetrium 병용요법을 췌장암뿐 아니라 유방암·폐암·위암·대장암·간암 등 고형암 전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글로벌 임상 1상을 준비 중이다. 한국을 시작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동시 착수할 계획이다. 현대ADM과 현대바이오는 이미 Penetrium을 경구용 캡슐 제형으로 개발을 완료했고, 올해 안에 임상을 개시해 내년 상반기 중 결과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매년 전 세계에서 900만명 이상이 전이암으로 생명을 잃고 있다. 현대바이오 진근우 대표는 "이번 오가노이드 연구는 단순한 가능성이 아니라 사람 조직에서 확인된 과학적 결과"라며 "단 한 명의 말기암 환자라도 하루빨리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대ADM과 현대바이오는 오는 21일(월) 오전 11시 서울 정동아트센터에서 전임상을 주도한 국내외 연구진들과 함께 본 연구 성과를 구체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01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인터펙스 위크 도... |
02 | 인벤테라, 근골격계 질환 특화 'MRI 조영제'... |
03 | 입셀, 유도만능줄기세포 분양 60억원 ‘잭팟’ |
04 | 현대ADM·현대바이오,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 |
05 | 제론셀베인, ‘셀베인’ 루마니아 대형약국 입... |
06 | ‘전담조직’ 승부수 띄운 제약바이오…전문 역... |
07 | 셀트리온 “미국 의약품 관세, 철저히 대비했... |
08 | 한양증권 "제이엘케이, 일본 의료 AI 시장 ... |
09 | 보령, LBA 전 품목 자사생산 전환 완료... ... |
10 | 무신사, 신진 뷰티 브랜드 발굴 위해 SBA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