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케이캡, 대한민국 산업 이끈 우수 기술 선정
한국공학한림원, 전 산업에서 14건 선정...생명과학 분야 ‘케이캡’ 유일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1-07 09:40   
케이캡 제품군. ©HK이노엔

HK이노엔이 개발한 국산 신약 케이캡이 생명과학 분야를 대표해 대한민국 산업 발전에 기여한 우수 기술로 인정받았다.

HK이노엔(대표 곽달원)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김기남)에서 발표한 올해 대한민국 산업을 이끈 ‘2023년도 산업기술성과’ 생명과학 분야 우수 기술로 선정됐다고 7일 전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공학 및 기술 발전 추진을 위해 설립한 학술 연구기관이다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할 목적으로 2006년부터 매년 다양한 산업의 우수한 기술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올해는 전기·전자 에너지·소재 모빌리티 건설·환경 생명과학 분야에서 기술의 미래 성장성시장 기여도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평가한 결과 14건을 우수 기술로 선정했다.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케이캡이 꼽혔다대한민국 30호 신약인 케이캡은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P-CAB계열 차세대 약물이다케이캡은 근본적인 질환의 치료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함으로써 경제적·산업적 손실을 줄이는데 기여하고국민 건강증진에 이바지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아 우수 기술로 선정됐다. 

케이캡은 복용 30분 내 빠른 약효 발현 우수한 약효 지속성 식사시간 관계없이 복용 가능 6개월 장기 복용 시에도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등의 장점으로 빠르게 시장에 안착했다고 회사는 전했다.

2019년 출시 이후 올해 9월까지 케이캡이 국내에서만 거둔 누적 처방실적은 3503억원으로 5년 연속 국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 1위다.

글로벌 영토 확장에도 속도를 올리고 있다세계 의약품시장 1, 2위 규모인 미국과 중국에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것에 이어 중남미 1, 2위 국가인 브라질멕시코에도 진출했다글로벌 대형 시장을 포함한 해외 35개국에 진출해 블록버스터 국산 신약으로 활약하고 있으며미국에서는 임상 3상을 순조롭게 진행하면서 국산 신약의 가치를 높이는 데 힘을 싣고 있다. 

케이캡은 기술 경쟁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임상 연구특허 등재 및 다양한 제형과 적응증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케이캡 임상 연구는 80여건국내 및 해외 유수 저널에 게재한 논문은 50여편이다특허는 전세계에 450여건을 등록했거나 출원 중이다적응증 연구도 활발히 진행해 국내 P-CAB계열 제품 중 가장 많은 적응증을 갖고 있다또 정제에 이어 구강붕해정(입에서 녹는 제형)을 개발해 복용 편의성을 높였고응급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주사제도 개발하고 있다

HK이노엔 곽달원 대표는케이캡은 우수한 대한민국 신약 연구개발 기술 집약체로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제품이라며차세대 P-CAB계열을 이끄는 선두주자로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은 물론제형 및 용량 다양화 등을 통해 환자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대한민국 신약 경쟁력을 더욱 키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3년 산업기술성과 14에는 LG전자 ‘4K 120Hz 무선 OLED TV’ 삼성전자세계 최초 UFS4.0 고성능 모바일 스토리지 제품’ LG화학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UV 가교 분리막 기술’ 현대모비스멀티 챔버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부강테크국내 최초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처리 질소제거 기술’ 등이 선정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