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아모잘탄패밀리, 로수젯, 클로잘탄, 임상적 유용성 뚜렷”
대한심장학회 추계학회 산학세션서 각 제품 임상적 근거와 유용성 발표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1-02 19:16   
한미약품, 대한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 산학세션 주최. ©한미약품

한미약품아모잘탄패밀리로수젯’, ‘클로잘탄의 임상적 근거와 유용성이 발표돼 주목받고 있다

한미약품은 전국 심장내과 및 순환기내과 분야 전문의 대상으로 최근 그랜드워커힐서울 호텔에서 열린 대한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산학세션을 주최하고각 분야 전문의들이 세 가지 복합신약의 우수성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산학세션은 성균관의대 박승우 교수와 연세의대 이병권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성균관의대 이종영 교수와 고려의대 홍순준 교수가 연자로 나서 각각 발표를 진행했다.

첫번째 연자인 이종영 교수는 고혈압 치료를 위한 병용요법시 이뇨제의 역할과 임상적 근거에 입각한 이뇨제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Losartan Chlorthalidone이 결합된클로잘탄의 임상적 근거를 제시했다

이 교수는혈압 강하 목적으로 이뇨제 사용시 티아지드계 이뇨제를 처방해야 하고 국내외 가이드라인에서는 공통적으로 Chlorthalidone을 우선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Chlorthalidone Hydrochlorothiazide 대비 혈압 강하 효과가 우수하고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낮으며 이상반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Losartan Chlorthalidone을 결합한 2제 복합제 클로잘탄과 3제 복합제 아모잘탄플러스는 Chlorthalidone을 포함한 최적의 복합제 치료 옵션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특히 Losartan은 이뇨제 사용에 따른 이상반응을 상쇄해 줄 수 있어 두 약제의 조합은 탁월하다고 설명했다.

좌장 박승우 교수는 “2023 ESH 가이드라인에서는 CKD(만성신장병) stage 4~5를 동반한 저항성 고혈압 환자에서도 Chlorthalidone 투여를 권고한다클로잘탄 50/6.25mg은 임상 근거를 기반으로 Chlorthalidone을 보다 다양한 환자군에 처방해 볼 수 있는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두번째 연자인 홍순준 교수는 이상지질혈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고 있는 로수젯으로 진행된 RACING trial과 그 하위 분석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홍 교수는로수젯 10/10mg RACING trial 및 여러 하위 분석을 통해 국내의 다양한 ASCVD(동맥경화성심혈관질환환자(당뇨병 동반노인관상동맥중재술 받은 환자초고위험군 등)를 대상으로 Rosuvastatin 20mg 대비 복합 심혈관사건 발생에 대한 비열등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홍 교수는특히 고강도 Rosuvastatin 대비 우수한 LDL-C 목표 도달률을 보이고 부작용이나 불내성으로 인한 약물 중단 및 감량 비율이 유의하게 적은 로수젯은 지속적인 약물 복용이 중요한 스타틴 치료에 있어 유용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좌장 이병권 교수는올해 8월 미국심장학회지에 게재된 국민건강보험 코호트 데이터 기반의 후향적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중재술 후 환자에서 Rosuvastatin/Ezetimibe 10/10mg 복용 시 Rosuvastatin 20mg 대비 더 낮은 심혈관사건 발생률약물 중단 비율신규 당뇨병 발생률이 확인됐다이는 고강도 스타틴 대비 로수젯의 처방 당위성을 지지하는 임상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교수는만성질환자의 복약순응도 개선을 위한 SPC(단일 제형 복합제사용이 강조되는 추세라며세계 최초 고혈압/이상지질혈증 4제 복합제인 아모잘탄엑스큐(아모잘탄+로수젯)는 이러한 트렌드에 부합하는 유용한 치료 옵션이라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