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도 제약계 윤리경영은 가속화됐다. 수년간 매년 제약계 핫이슈였던 제약사-의사 ‘리베이트’가 코로나19 영향, 윤리경영 노력 등이 작용하며 올해는 크게 부각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CSO(영업판매대행) 리베이트는 여전히 논란거리가 됐다. 본연 역할을 저버리고 그릇된 행동을 하는 일부 'CSO- 리베이트' 연결고리를 끊으려는 분위기가 어느 해보다 강하게 형성됐기 때문이다.
그간 영업 마케팅력이 부족한 제약사들을 위한 긍정적 역할론에도 불구하고, 그릇된 행동을 일삼는 CSO들로 CSO에는 ‘신종 리베이트 창구’ ‘리베이트 전달자’가 '도매금'으로 붙어다녔다. 특히 CSO 뿐 아니라 일부 제약사들은 CSO를 활용한 리베이트 매출이 도를 넘었다는 얘기들도 업계 내에서 회자되며, 선의 제약사와 CSO 모두 피해를 받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에 따라 특단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왔지만, 동시에 CSO '리베이트 창구' '리베이트 전달자' 얘기도 간단없이 이어지며, 이 상황이 제어되지 않고 지속되면 리베이트 근절은 요원해질 것이라는 자조도 팽배했다.
CSO는 제약사 영업사원 ‘투잡영업’이라는 그릇된 방식으로도 이어졌다. 영업사원이 CSO 업체로부터 판매장려금(인센티브)을 받고 타 제약회사 제품을 파는 ‘투잡 영업’도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제약사들이 내부단속에 나섰다.
업계에서는 매력적인 조건 제시, ‘투잡’ 영업사원으로부터 권유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졌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확산될 경우 회사 매출에 큰 타격(회사 매출은 오르지 않고, 타 제약사와 CSO 매출만 증가)을 받는다는 점에서, 색출작업을 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형국이다.
이에 따라 영업사원 개인 ‘도덕성’을 떠나, 기업과 기업인들에까지 영업인력 '교육'과 '방치'에 대한 책임론이 부과됐다. 영업사원을 떠나 기업이 직접 나서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약회사를 만들었지만 생산을 안하고 CSO만 하는 회사들도 있고, 알만한 회사 중 회사 영업사원에게 일정액수만 판매하고 나머지는 CSO로 하라는 지시를 내리는 회사들도 있다는 것.
‘투잡 영업’은 일단 매출은 늘려주는 ‘전달자, 창구’ 역할과 달리 무조건 회사에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골칫거리지만, 적발이 쉽지 않아 기업에 큰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제약사와 영업사원들에게 ‘도덕재무장’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CSO가 ‘리베이트’ 창구‘ ’리베이트 전달자‘ 역할에 더해 ’투잡영업‘으로까지 이어지며 , 제약계에서는 CSO 위상정립에 대핸 목소리가 어느 해보다 높게 일었다. 특히 그간 CSO와 리베이트 연관성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대책 마련에는 적극적이지 않았던 복지부와 국회에서 올해는 어느 해보다 적극적으로 나섰다.
실제 올해 10월 열린 국감에서 다수 국회의원들이 복지부에 CSO 지출보고서 제출, 제약사 처벌 등을 포함해 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했고 복지부도 화답했다.
복지부는 CSO를 통한 불법 리베이트 제공이 잇따라 지적되고 있다는 데 공감, 리베이트 관련 처벌 근거 마련을 위한 약사법상 관리 필요성에 동의하고 '영업사원 인증제', '지출보고서 의무작성 대상 포함' 등 대안을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CSO 포함 지출보고서 확인 의무화 방안 검토 의지도 비췄다.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게 진행되는 분위기다.
제약업계 내에서도 'CSO를 통한 리베이트 근절을 더 이상 미룰수 없으며, 지금이 적기'라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국회의원들이 윤리경영 정착 기치를 바탕으로 근절책을 요구하고 복지부가 호응하는 이 상황을 놓치면 더 이상 기회는 없다는 판단이다.
CSO를 활용한 리베이트 근절 분위기는 올해 연말까지 이어졌고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은 12월 15일 의약품공급자로부터 의약품의 판매촉진 업무를 위탁받은 자(영업대행사 등)에 대해서도 경제적 이익등 제공을 금지하도록 하고, 경제적 이익등 제공 내역에 관한 지출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CSO 리베이트는 내년 발 디딜수 없는 환경으로 짜여지며 제약사 윤리경영은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01 | 관세청, K-뷰티 수출 확대 위해 무역 장벽 ... |
02 | 혁신 비만치료제 개발 가속 '한미약품' 신약... |
03 | 미국 하원, 2026 국방수권법안 통과...‘생물... |
04 | 애경산업, 세계화장품학회서 연구성과 2건 발표 |
05 | 앱클론, 차세대 카티 치료제 '네스페셀' 개... |
06 | GC녹십자,독감백신 ‘지씨플루’ 누적 생산량... |
07 | 마티카바이오랩스,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
08 | 이노퓨틱스, 파킨슨병 유전자치료제 1상 임... |
09 | 키프라임리서치 "ADC 개발 성공, '비임상 독... |
10 | 'KOREA LIFE SCIENCE WEEK 2025', 9월 30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