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켐생명과학 신약물질 'EC-18'이 미국 정부가 수행한 방사선 피폭 실험에서 실험 동물들 생존율을 5배~13배 가까이 향상시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지난 7월부터 미국 국립보건원(NIH)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질환연구원 (NIAID) 방사능핵무기대응프로그램(RNCP)을 통해 방사선 피폭에 대한 대응실험이 진행돼 왔으며, 이를 통해 방사선 피폭 실험쥐들 생존율이 전체적으로 5배 개선되는 결과가 도출됐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암컷 실험쥐에서는 생존율이 13배까지 개선되는 결과가 도출됐다.
회사 측에 따르면 NIAID는 동물 피폭실험 위탁수행 전문기관인 SRI를 통해 한달 간 LD70/30(한달 이내 70% 사망률) 방사선 피폭 실험을 진행했으며, 총 192마리 쥐에 세 가지 다른 용량 (100, 250, 350 mg/kg)의 EC-18을 투약해 방사선 피폭 동물 생존율이 EC-18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 실험을 통해서는 EC-18을 한 달 간 투약한 쥐들이 식염수만 경구 투여한 비교 그룹에 비해 5배~13배 이상 생존율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피폭 24시간 후 EC-18을 투약했음에도 약물 투약 농도에 비례해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됐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미국 정부는 핵 전쟁 등 방사선 공격이 일어나는 실제상황을 가정한다면, 대다수 사람들이 피폭 후 하루나 이틀 후 약물 복용이 가능할 것이라 가정해, 24시간 이후 약물 투약(delayed administration)에 대한 효능에 높은 관심을 두고 있다. 이번 SRI 연구 결과는 이후 SRI와 공동으로 수행하는 추가 실험들과 함께 FDA의 급성방사선 증후군 치료제 허가를 위한 Animal Rule Study로 활용된다.
조도현 엔지켐생명과학 미국법인대표는 " 이 같은 결과가 내년 초 엔지켐생명과학이 미국 국방성 산하 AFRRI(Armed Forces Radiobiology Research Institute)와 방사선 피폭 전 EC-18 복용시 안전성과 효능 검토 실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시그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명환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 EC-18은 패턴인식수용체 세포내 이동 촉진자(PETA) 작용 기전을 통해, 세포나 조직 손상으로 몸에 쌓이는 손상연계분자패턴(DAMP)과 병원균연계분자패턴(PAMP)을 신속히 제거해 조기에 염증을 해소한다. 따라서 미국의 권위 있는 제3 연구기관에서 수행된 이번 급성방사성증후군 연구에서 EC-18의 우수한 효능이 입증됐으므로 같은 작용기전으로 발병하는 CIN과 CRIOM에서의 같은 효과를 더욱 기대케 한다”고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EC-18은 항암화학 방사선요법 유발 구강점막염, 항암화학요법 유발 호중구 감소증과 급성방사선증후군 적응증으로 EC-18 임상 2상을 진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