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바이오시밀러 의약품 추가 개발 현황 공개
2030년까지 매년 1개 제품 출시-졸레어 바이오시밀러 임상 개시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8-01 16:00   수정 2019.08.01 16:16

셀트리온이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추가 개발 현황을 1일 공시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상업화에 성공한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제품 외 램시마 피하주사 제형 '램시마SC', 대장암 치료제 아바스틴(Avastin) 바이오시밀러 'CT-P16',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Humira) 바이오시밀러 'CT-P17' 등이 허가 심사 진행 중이거나 임상 진행 중이다. 이외 15개 이상의 후속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의 세포주 및 공정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를 통해 2030년까지 해마다 바이오시밀러 제품 1개를 출시할 계획이다. 램시마SC는 지난해 11월 유럽의약품청(EMA)에 허가를 신청했으며, 미국에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CT-P16과 CT-P17도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CT-P39' 임상도 개시한다.

졸레어는 제넨테크와 노바티스가 개발한 항체 바이오의약품으로 2018년말 IQVIA 집계 기준 글로벌 매출 3조 3,000억원을 기록한 블록버스터 제품이다. 셀트리온은 CT-P39의 안전성과 약동학 평가를 위한 1상 임상시험을 시작하는 한편 2020년 상반기 중 글로벌 임상 3상에 돌입, 2022년까지 임상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천식 치료제 바이오의약품 가운데 졸레어 매출이 가장 크다는 점에 착안해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착수했으며, 2024년 초 시판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 다변화된 제품군이 시장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가면서 매출과 수익성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하반기에는 기존 램시마와 함께 병행 치료 가능한 램시마SC 허가를 기대하고 있어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