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약 연구과제 16년간 7.29배 증가…합성약 1.27배
바이오는 '평가기술' 키워드, 합성은 '안전' 키워드 빈도 높아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2-03 06:30   수정 2018.12.03 06:39
바이오의약품에 관한 연구과제가 16년간 7.29배 증가하고, 합성의약품은 1.2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과제들은 바이오의약품 분야가 '평가기술' 관련으로, 합성의약품 분야가 '안전'으로 집중된 경향을 보였다.

최근 성균관대 약대에서 공개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분야 정부 R&D 연구 동향 비교 분석(장석찬·이의경·이상원)' 포스터에서는 이 같은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이번 연구는 안전평가기술 연구과제 키워드 분석을 통해 기존 합성의약품 대비 바이오의약품의 안전평가기술 관련 개념의 구조적 관계를 비교해 연구 주제 간 연계 양상 및 연결중심성 등 연구개발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연구과제 데이터는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 DB를 통해 수집한 2002~2017년 과제 3만1,060개(바이오의약품 6,669개, 합성의약품 2만4,361개)를 추출해 안전, 평가기술, 품질, 유통, 사용 분야로 나눠 데이터를 추출했다.

연구 결과, 바이오의약품 및 합성의약품 모두 2002년 대비 2017년 연구과제수가 크게 증가했다.

바이오의약품은 7.29배 증가했으며, 합성의약품의 경우 1.27배 증가를 보였다.

바이오의약품의 다빈도 키워드는 '바이오의약품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임상시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가기술 관련 키워드 빈도가 높았다.

합성의약품의 다빈도 키워드는 '모니터링', '가이드라인', '안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전 관련 키워드의 빈도가 높았다.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평가기술 분야 키워드 빈도수가 월등히 높은데 반해, 합성의약품은 안전, 사용, 평가기술 분야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성대약대 연구팀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많이 개발되는 만큼 그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연구가 중점적으로 수행되고 있엇으며, 연구가 많이 진행된 합성의약품 분야에서는 안전성을 중심으로 평가기술, 사용, 품질관련 연구도 고르게 수행되고 있었다"고 고찰했다.

이어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기존 합성의약품에 비해 연구가 한쪽으로 편중된 경향이 있었다"며 "이러한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특징적 경향은 향후 정책이나 연구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