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약국, 건강지원·상담 등 강화…공적의료비 절감 대응
약국내 자가채혈 허용 등 그레이존 해소 정책 관심…약국 기업 대형화 전망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2-01 14:23   

일본 약국들이 정부의 공적의료비 절감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건강·미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카운슬링을 강화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일본 정부는 국내와는 달리 약국에서 자가채혈이나 운동요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그레이존 해소 정책을 펼치고 있어 관심을 모았다.

대한상공회의소와 한국KCG글로벌컨설팅은 11월 30일 중소기업중앙회 제1 대회의실에서 ‘헬스케어·화장품의 중·일 동향 및 AI 활용 사례’를 주제로 제6회 국제마케팅 세미나가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일본 innoVaccel 나가에 요시카즈(Nagae Yoshikazu) 대표는 ‘일본 헬스케어 산업 동향과 사업기회의 전망(유통·제품 분야를 중심으로)’ 발표를 통해 “일본 헬스케어 산업은 의료·요양분야 등 공적보험 중심에서 공적 보험 외 폭넓은 건강관련 서비스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혔다.

나가에 요시카즈 대표는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건강장수사회의 형성을 위해 세계 최첨단의 의료기술·서비스의 실현으로 건강수명의 연장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이용한 연구개발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산업 창출, 해외진출 촉진 등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을 기본방침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가에 대표는 “2018년 일본 총인구 1.24억명 중 65세 이상이 약 3,500만명에 달하고, 향후 출산율 저하로 인구수가 감소해 고령화율이 38%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국민의료비의 억제는 제도 유지에 불가결한 상황”이라며 “2015년 국민의료비는 42조엔을 넘었고 이중 65세 이상 고령자 의료비가 59.8%인 25.1조엔을 기록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공적 의료비를 억제하기 위해 차세대 헬스케어 산업 협의회를 설립해 건강수명 연장 분야 시장 창출 및 산업 육성 과제를 검토하고, 새로운 건강관련 서비스·제품의 시장 창출을 위한 사업환경을 정비하는 한편, 건강관련 서비스·제품의 품질평가 기준을 마련하며, 기업·개인 등의 건강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시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본의 보험 대상 의약품·의료기기·요양을 포함한 헬스케어 시장은 2025년 100조엔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공적보험 외 시장규모는 2025년 약 33조엔으로 추계되고 있다”며 “건강경영·의식주·정보·수면·예방·운동 등의 민간사업이 포함된 헬스케어 산업(건강 유지·증진)은 2016년 약 9.2조엔에서 2025년 약 12.5조엔으로 확대되고, 민간보험 및 환자·要요양자 대상 상품·서비스 등의 헬스케어 산업(환자·要요양자 생활지원)은 2016년 15.8조엔에서 2025년 20.6조엔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나가에 대표는 “일본 드럭스토어 시장은 상위업체의 과점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드럭스토어 전국 총 매출액은 2010년 5조6,308억에서 2016년 6조4,916억엔(431개사 1만8,874곳 추정매출)으로 성장했다. 특히 상위 10개사의 시장 점유율은 68.2%에 달했다”며 “드럭스토어는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고 있으며, 압도적인 톱 기업이 없어 향후 M&A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드럭스토어가 기존의 상품 판매뿐만 아니라 건강·미용서비스 제공, 카운슬링 강화가 진전되면서 차별화에 의한 생존전략이 진행되고 있다”며 “의료행위인지 아닌지 애매한 경계선에 대해 그레이존 해소제도로 인해 약국에서 자기채혈도 가능해졌고, 의사 지도 없이 드럭스토어 등에서도 운동프로그램을 알려주고 대가를 얻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여기에 “고객접점을 중시한 ICT 기술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며 “드럭스토어들은 독자적인 e-커머스 전개, SNS에 의한 고객커뮤니케이션, 앱 제공에 의한 고객편리성 향상, 전자 약장부가 활용되고 있다. 조제약국에서는 온라인을 활용 환자의 복약지도이력 관리와 건강상담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조제약국 총매출액은 2015년 기준 7.8조엔이었고, 이는 의약분업이 진전되면서 고액 약제비 처방전이 늘고 점포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조제약국 수는 2010년 5만3,001곳에서 2016년 5만8,678곳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나가에 대표는 “조제약국 시장한 포함한 조제매출을 기반으로 볼 때 향후 M&A로 규모를 확대하는 등 재편 가능성이 높다”며 “일본 조제약국은 소규모 점포가 많다. 현재 상위 10개사의 합계 점유율은 15%”라고 소개했다.

그는 “일본 조제약국은 드럭스토어와 동일하게 건강지원 기능을 확충하고 건강상담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OTC 의약품, 건강식품 등의 취급이 증가하면서 드럭스토어 업계와 동질화되는 경향이 있다”며 “재택의료의 추진과 진료보수의 가산을 배경으로 약사방문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조제기능에 국한하지 않고 관련 사업에 진출하는 조제약국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약국 기능만으로는 경영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나가에 대표는 “정부가 공적의료비 절감을 위해 셀프-메디케이션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민계보험제도로 인해 일본 소비자에게 의료기관의 진찰이 비교적 싸다보니 아직은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며 “일본은 스위치 OTC 의약품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의료용 의약품 성분을 전용한 일반인 대상 알레르기약, 위장약, 진통제 등 OTC 의약품이 계속 시장에 투입되고, 이를 통해 셀프 메디케이션을 도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일본은 2017년 1월 1일부터 개인이 스위치 OTC 의약품을 구입한 경우, 1만2,000엔을 초과하면 소득 공제를 받는 제도를 시행했다”며 “이들 제품은 현재 86개 유효성분에 적용되고 품목으로는 1,500개가 넘는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의료정보에 기반한 중병화 예방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보험조합이 소유하는 개인정보를 활용, 생활습관병 리스크의 중증화 예방을 촉진한다는 것으로, 일본 후생노동청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험조합과 사업주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문제되지 않는 정보라고 결론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가에 대표는 “건강 비즈니스는 유통업, 특히 드럭스토어와 연계가 가능할 것”이라며 “이에 드럭스토어는 신 카테고리·상품 강화, 신규 출점, 조제점포 강화, M&A, 인터넷판매, 해외전걔 등 규모를 확대하거나, 건강·미용서비스 확충, 외국인 대응력 강화, 리테일·SCM·CRM 등 내부쓰템 강화, 신규사업 창출·추진, 이업종과 연계 등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용인대 중국학과 박승찬 교수(중국경영연구소장)는 ‘중국 헬스케어·화장품 시장의 특징과 주요 이슈’ 발표를 통해 “중국은 백화점, 쇼핑몰, 편의점, 화장품전문숍, 약장 매장, 방판, 홈쇼핑, 인터넷쇼핑몰 등 다양한 유통채널이 존재한다”며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선 자신의 역량에 맞는 유통채널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중국 헬스케어 산업은 고령화, 소득증가 및 서구화된 식습관, 환경오염이라는 4대 요인에 의해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버 계층을 노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 reflux 하마다 켄이치(Hamada Kenichi) 대표가 ‘헬스케어·소매업의 최근 동향’을, 일본 COLNOVUM 야마다 카츠토시(Yamada Katsutoshi) 대표가 ‘일본 유통시장의 AI 활용 사례’를 발표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